365mc-삼보벤택, 지방흡입 후관리 특화 차세대 고압산소 시스템 개발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2 15:25:34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가 고압산소 치료기기 제조 전문기업 삼보벤택과 '지방흡입 후관리 특화 맞춤형 차세대 고압산소 케어 시스템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고압산소 치료란 일반 공기 압력보다 2배 이상의 고압 챔버 안에서 100%에 가까운 고농도 산소를 호흡하게 하는 치료다. 체내 산소량을 대기압 상태의 10배 수준으로 증폭해 저산소증으로 나타난 여러 가지 질환이나 증상을 개선한다.

 

▲ <사진=365mc>

 

고농도 산소는 혈액 및 림프 순환을 촉진한다. 이 과정에서 피부와 조직의 회복을 도와 시·수술 등 치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불필요한 염증 반응을 줄이고 환부의 상처 회복 속도를 높인다. 특히 지방흡입·람스(지방추출주사)와 관련해선 시·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붓기 △멍 △통증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 협약식을 시작으로 365mc는 삼보벤택과 협력해 지방흡입·람스 특화 고압 산소치료 후관리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이를 통해 시·수술 부위 회복 속도를 극대화해 신속한 후증상 및 불편감 감소에 기여할 방침이다.

 

또한 고압산소 치료는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지방 연소를 촉진해 체중 감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체형교정과 다이어트 모두 잡을 수 있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이외에도 고압산소 치료는 지방 이식 후 '생착률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지방세포를 주입했을 때 주입된 지방세포가 기존 조직에 붙어서 생존하는 비율을 뜻한다. 고압산소 환경은 이식된 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초기 혈관 형성을 유도한다는 이유에서다.

 

협약식 대표자로 참석한 (주)365mc 김남철 대표이사는 "고압산소 치료는 혈류에 산소를 공급해 미세 세포를 재생하고 손상된 조직을 되살릴 수 있어 후관리에서의 회복력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며 "고압 산소치료 연구·개발을 통해 지방흡입 수술 이후 관리까지 최고의 만족도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김준영 삼보벤택 이사는 "국내 최대 지방흡입 의료기관인 365mc와 삼보벤택이 의미 있는 협약을 맺어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협약을 계기로 삼보벤택의 고압산소 치료를 통한 회복·재생 기술력과 365mc의 시술 후관리 시스템간 상승효과를 통해 고객의 치료 효율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승연 한화 회장, 수능 앞둔 임직원 자녀에 합격 기원 선물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그룹 임직원 자녀들에게 합격 기원 다가 세트와 격려 편지를 보냈다. 김 회장은 21년째 매년 같은 행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수만 명의 임직원 가족이 선물을 받아왔다. 5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서울 플라자호텔 베이커리 '블랑제리'에서 특별 주문 제

2

블록체인 금융기업 그루핀, 제도권 연계 ‘Stablecoin-as-a-Service’ 구조 발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기업 그루핀(Gurufin)이 규제 친화형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기술 페이퍼를 5일 공개했다. 그루핀은 은행 또는 공인 금융기관이 직접 발행 주체가 되고, 자사 특허 기술을 통해 토큰화·결제·정산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as-a-Service)’ 모델을 선보였다. 한국은행은 지난

3

한컴,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5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보상 재원 확보를 위해 1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변성준, 김연수 각자대표 체제에서 2022년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2023년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3개년 배당 정책 발표에 이은 주주 친화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