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너마저...

김가희 / 기사승인 : 2015-03-24 16:25:07
  • -
  • +
  • 인쇄

[메가경제 김가희 기자] 잘 나가던 현대중공업 체면이 요즘 들어 말이 아니다. 현대중공업 주가만 보더라도 그렇다. 한때 주당 40만원을 넘나들던 현대중공업 주가는 요즘 10만원을 겨우 넘어서 있는 정도다.


주력인 조선업 자체가 전세계적으로 불황에 빠져 있다고는 하지만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현대중공업의 요즘 실상은 언제 그랬냐는 듯 과거의 영화를 무색케 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구조조정 없고, 본인이 제발로 회사를 나서지 않는 한 웬만하면 정년이 보장되는, 구직자들에겐 선망의 기업이었다. 현대중공업의 남다른 처우와 직업 안정성을 두고, 오너가 대권을 꿈꾸는 정치인이라서 역시 다르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은 요즘 들어 강력한 구조조정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 와중에 현대중공업 여직원 대상 희망퇴직 실시로 인해 '정리해고'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더구나 최근 현대중공업의 '희망퇴직'은 올초 한차례 구조조정 홍역을 치른지 얼마 안돼 나온 것이어서 사내 분위기를 더욱 더 어수선하게 만들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월부터 과장급 이상 사무직 1천300명을 대상으로 명퇴를 실시, 대상자 대부분이 회사를 떠나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대리급까지 구조조정 범위를 확대한다는 내용의 괴문서가 현대중공업 내부에 나돌아 반발이 이는 등 내홍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 사측은 회사가 작성한 문건이 아니고 그럴 계획도 없다고 해명했지만 현대중공업 내에서 그 여진은 예상외로 크게 번졌다.


이런 와중에 현대중공업이 최근 그룹내 조선 3사의 유사 업무를 통합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이같은 조치는 현대중공업의 자구노력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통상 뼈를 깎는 자구노력은 인적 구조조정의 전단계로 인식되는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이 역시 현대중공업 내외에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에 현대중공업이 추진하는 통합 대상 업무 분야는 재정과 회계, 홍보, 정보기술 등이다.


누리꾼들은 "이게 현대중공업만의 문제일까?" "나라 경제가 모두 결딴나게 생겼으니 현대중공업인들..." "현대중공업 뿐 아니라 잘 나가던 삼성전자도 요즘 휘청휘청...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가희
김가희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장과 무한도전...무신사, 패션플랫폼 탈피 위한 잰걸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내년 IPO를 추진하며 사업 영역을 넓히며 종합기업으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 무신사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7% 증가한 3777억 원, 영업이익은 22.6% 증가한 413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이다. 오프라인에선 지속적인 출점 효과가 성과를 냈다. 무신사는

2

롯데백화점, ‘멘즈 위크(Men’s Week)’ 행사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백화점이 전점에서 오는 12일(일)까지 단 6일간 '멘즈 위크' 행사를 개최하며 남성 패션 축제를 연다. 우선, 총 60여개 남성패션 브랜드가 참여해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표 참여 브랜드로는 ‘갤럭시’, ‘닥스’, ‘시리즈’, ‘송지오’, ‘바버’ 등이 있다. ‘시리즈’, ‘에피그램’, ‘커스텀멜로우

3

남양유업, ‘지역사회와 건강한 동행’...소외계층에 우유·발효유 지원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한부모 가정과 독거노인 등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우유와 발효유를 후원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매월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건강한 동행'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후원에는 남양유업 천안공장을 비롯한 전국 15개 사업장이 참여했다. 총 1만5000여 개 제품이 한국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