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3분기 전망 여전히 ‘부정적’... 주요 요인 '내수 부진'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9 14:13:20
  • -
  • +
  • 인쇄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새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미국발 관세 압박과 중동 불안, 내수 부진 등 요인으로 국내 제조업체들의 3분기 경기 전망이 여전히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 [이미지=대한상공회의소]

29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제조업체 2186곳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3분기 전망치는 8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 분기(79)보다 2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준선인 100을 16분기 연속 밑도는 상황이다. BSI는 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본다는 의미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이번 조사에서 수출(87)과 내수(79) 모두 부진했으며, 특히 건설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내수 기업의 체감경기가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89)에 비해 중견기업(77), 중소기업(81)의 전망이 더 낮았다.

 

업종별 전망은 관세 부담과 수출 실적에 따라 엇갈렸다. 반도체(109)와 제약(109) 업종은 관세 예외 품목에 해당돼 긍정적인 전망을 보였다. 화장품 업종(113)은 유럽과 중동 등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며 가장 높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반면 철강(67), 자동차(76) 등 미국 관세 적용 대상 업종은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정유·석유화학(72) 업종은 산업 구조 침체와 유가 변동성 확대로 불확실성이 커지며 부정적 전망이 이어졌다.

 

지역별 전망에서도 관세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도체와 식음료 업황이 개선된 제주(100)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기준치를 기록했다. 반면 건설경기 침체와 자동차·부품 관세 영향이 겹친 인천(63), 철강·섬유 산업 부진이 이어진 대구(64)와 경북(69)은 낮은 수치를 보였다.

 

상반기 실적도 부진했다. 제조업체의 54.1%가 상반기 매출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응답했으며, 이 중 16.4%는 목표 대비 10% 이상 미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10% 이내 소폭 미달 응답은 37.7%였다.

 

기업들이 꼽은 상반기 주요 리스크로는 대내 요인에서 ‘내수 부진’(64.7%)이 가장 많았고, 대외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30.9%)에 이어 ‘해외수요 부진’(23.8%), ‘환율 변동’(19.3%), ‘관세 조치’(18.0%) 순으로 조사됐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새 정부 경제 정책 기대감이 내수 심리에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 국회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하반기 경기 회복 모멘텀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대형 스케일·한류 아이돌 라인업…아이윌미디어, 숏폼 드라마 판도 흔든다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육성재·김지연 주연의 히트 판타지 사극 ‘귀궁’을 비롯해 김영대·표예진 주연의 ‘낮에 뜨는 달’ 등으로 판타지 기획 및 제작에 좋은 성과를 낸 드라마 제작사 아이윌미디어가 글로벌향 웰메이드 숏폼 드라마 프로젝트 두 편을 선보인다.이번 작품은 ‘혼검:헌터스’와 ‘꿈에서 자유로’로, 짧은 호흡 속에서도 고퀄리티의 밀도 있는 세계관을 구

2

ENA 스위트 호텔 남대문 서울, 가족연·돌잔치 패키지 출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ENA 스위트 호텔 남대문 서울이 9월부터 가족연과 돌잔치를 위한 특별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패키지는 소중한 가족의 기념일을 한층 더 품격 있게 기념하고자 기획됐으며, 정통 이탈리안 레스토랑 RENA의 헤드 셰프가 직접 선보이는 최고급 양식 코스 메뉴와 함께한다. 특히 선택한 패키지에 따라 다채로운 코스

3

영풍 "고려아연, SM 시세조종 구조 알고도 출자 정황"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영풍이 SM엔터테인먼트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해 고려아연 경영진이 하바나1호 펀드 출자 자금의 사용처를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영풍은 5일 입장문을 통해 “최윤범 회장과 고려아연 경영진이 하바나1호 펀드 출자금이 SM엔터 주식 매입에 쓰일 것을 사전에 인지한 정황이 확인됐다”며 “이는 단순한 출자자일 뿐 투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