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직업 없는 실업자를 일컬어 백수라고 한다. 백수 중 6개월 이상 실직 상태로 지내는 장기 백수가 실업자 5명중 1명으로 나타나 외환위기 이후 최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장기 실업자는 보통 졸업이 껴있는 2월 쯤 최저 수준을 유지하다 하반기 취업공채가 시작되는 9~10월에 최고 수준을 보이곤 한다. 즉, 앞으로 예정된 9~10월 고용동향 발표에서는 현재보다 더 악화된 통계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의미다.
7일 통계청은 장기 실업자가 전체 실업자 100만 1000명 중 8월 기준 18만 4000명으로 전체의 18.4%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9년 10월 19만 6000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실업자 5명중 1명이 장기 실업자라는 얘기다.
올해 1월 11.8%던 장기 실업자 비율은 6월까지 12% 정도를 유지했으나 7월 18.7%로 갑자기 증가세를 보였다.
이러한 국내 장기 실업자 증가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청년층 장기 실업 증가를 꼽는다. 실제 통계청 자료를 보면 전체 장기 실업자 중 15~29세인 청년층 비중이 44%로 가장 높으며 증가폭도 다른 연령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전문가들은 청년층 장기 실업자가 늘고 있는 원인으로는 ‘기업과 청년구직자 간 미스매치’를 들었다. 구인기업은 경력·학력 등 자격을 갖춘 지원자가 없다고 말하고 구직자들은 근로조건이 기대한 수준과 다르고 선호하는 직종이 아니라 입사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고학력 청년층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는 정해져 있고 사업체는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인재조건이 맞지 않는 탓에 많은 청년층이 장기 실업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쪽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언급하며 내놓은 11조원 규모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이에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집행에 들어간 것은 8월인 만큼 추경 효과가 곧 드러날 것이라고 전하며 추경의 신속한 집행과 일자리 중심의 경제 전략을 추진해 고용 회복 모멘텀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