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 겉만 번지르르

장찬걸 / 기사승인 : 2017-10-12 09:29:02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 ‘경제’라는 키워드로 많은 국책 사업들이 시행됐다. 일자리 문제도 여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었고 정부는 이에 깊이 통감하며 그와 관련된 정책들을 쏟아냈다. 하지만 그렇게 의욕적으로 실시한 정책들이 실은 속 빈 강정에 가깝다는 사실이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의해 밝혀져 놀라움을 전하고 있다.


2013~2015년 3년간 조사된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은 이명박 정부부터 시작된 ‘고용 창출 우수 기업 혜택 사업’의 연장선으로. 박근혜 정부까지 이어졌던 사업이다. 해당 사업에 선정되면 법인세 정기 조사 면제나 세무조사 등 114건에 이르는 혜택이 주어진다.


3년간 선정된 257곳 전체 기업 중 대기업(고용인 1000명 이상)은 18곳이었다. 하지만 선정된 기업들 다수가 불균형한 고용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임금 수준이 낮고, 퇴직 비율도 높았다.


특정 기업들은 비정규직 비율이 지나치게 높았다. 3년 연속 선정된 스타벅스는 비정규직 비율이 80%나 되었으며, 2회 선정된 씨지브이와 씨제이푸드빌은 각각 77.5%, 80,4%를 기록했다.


임금 수준도 생각보다 낮았다. 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초임 연봉이 2400만원 미만인 곳이 전체 18곳 중 6곳이었다. 3년 연속 선정된 에어코리아와 스타벅스는 각각 초임 연봉이 1천819만원, 1천639만원에 불과했다.


1년 내 기업을 그만두는 비율인 퇴사율은 대기업 18곳 중 11곳이 61.1%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조사된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조사결과인 300인 이상 기업 평균 퇴사율 9.4%에 비해 몇 배나 높은 비율이다. 퇴사자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내부적으로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 서의원의 지적이다.


서형수 의원은 “선정 기업들은 그룹 내 아웃소싱업체에게 일감 몰아주기와 대기업 브랜드가 가진 채용 이점 등으로 겉으로 들어난 성장, 고용의 양적 증가는 큰 반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점. 잦은 퇴사율에 의한 높은 이직률이 가진 취약함 등으로 보아, 일자리 창출 모범기업이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사업 본래 취지에 맞는 선정 기준 명확성과 내용 개선이 필요하다. 또 적어도 2~3년간의 중기고용 추이를 지켜보고 정규직 비율과 임금 수준 향상, 이직률도 평가 대상에 넣어야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백화점, ‘멘즈 위크(Men’s Week)’ 행사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백화점이 전점에서 오는 12일(일)까지 단 6일간 '멘즈 위크' 행사를 개최하며 남성 패션 축제를 연다. 우선, 총 60여개 남성패션 브랜드가 참여해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표 참여 브랜드로는 ‘갤럭시’, ‘닥스’, ‘시리즈’, ‘송지오’, ‘바버’ 등이 있다. ‘시리즈’, ‘에피그램’, ‘커스텀멜로우

2

남양유업, ‘지역사회와 건강한 동행’...소외계층에 우유·발효유 지원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한부모 가정과 독거노인 등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우유와 발효유를 후원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매월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건강한 동행'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후원에는 남양유업 천안공장을 비롯한 전국 15개 사업장이 참여했다. 총 1만5000여 개 제품이 한국

3

BBQ, 세계 최대 식음료 박람회 아누가 참가…유럽에 K-치킨 알렸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제너시스BBQ 그룹이 세계 최대 식음료 박람회인 ‘아누가(Anuga) 2025’에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참가해 ‘K-치킨’을 알렸다고 8일 밝혔다. ‘아누가(Anuga)’는 독일 쾰른(Cologne)에서 2년마다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식음료 박람회다. 전세계 118여 개국에서 16만 명 이상이 찾는 글로벌 행사로, '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