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효림, 시모 김수미 공연 갔다가 대성통곡? "존경하는 우리 마미~"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03-30 10:19:5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서효림이 배우 선배이자 시어머니인 김수미를 향한 무한 존경심을 드러냈다.

 

▲ 서효림과 시어머니 김수미의 다정한 근황. [사진=서효림 SNS]


서효림은 29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여러 번 본 공연이라 무덤덤하겠지 했다가 창피하게 대성통곡하고 나올 뻔. 역시 엄마는 엄마"라며 김수미가 출연하는 뮤지컬 '친정엄마'의 커튼콜 영상을 게재했다.

이어 그는 "4년 전 공연보다 더 와닿는 이유는 나도 한 아이의 엄마가 되었기 때문이겠지. 존경스러운 우리 마미 수미쌤! 뮤지컬 '친정엄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라고 덧붙여 '훈훈한 고부' 사이를 인증해 부러움을 자아냈다.

그런가 하면 이날 김수미는 '라디오 스타'에 출연해 아들 정명호와 며느리 서효림의 결혼 비화를 시원하게 들려줘 화제를 모았다. 지난 29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스타'에서 김수미는 게스트로 출연해 거침없는 입담을 발휘했다.

 

▲ '라디오스타'에 출연한 배우 김수미. [사진=MBC 캡처]

 

이날 MC들은 김수미에게 "평소 며느리와 스스럼 없이 지내는 걸로 유명한데 결혼 전 아들과 서효림 사이를 눈치챘었냐"라고 물었다. 김수미는 "전혀 몰랐다. 아이를 갖고 나서야 알았다"라고 아들의 혼전임신 사실을 고백했다.

그는 "당시 효림이와 같은 방송에 출연 중이었다. 아마도 효림이가 입덧을 할 때였던 것 같다. 내가 '요즘 왜 피부가 안 좋냐, 봄 타냐'라고 하니까 당황하더라. 혹시 무슨 고민이 있나 했는데 그게 우리 손녀 입덧이었어"라고 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러면서 김수미는 "(아들이) '엄마 놀라지 말라'면서 '사고쳐서 아이를 가졌다'고 하는 거다. 그래서 '네가 좋아하면 누구든 다 괜찮다, 데리고 와라'고 했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김수미는 "사실 그렇게 말은 했지만 심장이 떨렸다. 누구냐고 물었더니 '효림이요' 하는 거다. 내가 안도하면서도 어떡하나 싶더라. 드라마에서 내 딸로 나오고 서로 너무 잘 지냈다. 효림이 전 남자친구 얘기도 했었다. 그 얘기하면서 울기도 했다"고 깜짝 폭로했다.

나아가 그는 "그때 내가 효림이한테 '실연 당한 건 새로운 남자로 해결해야 한다. 빨리 좋은 남자 사귀어라'고 했는데 그게 내 아들이었어"라고 해 폭소탄을 날렸다.

한편 서효림은 2019년 김수미의 아들 정명호 나팔꽃 F&B 대표와 결혼해 슬하에 딸 한명을 두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이디야커피,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첫 파트너십 체결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올가을 다양한 스포츠 구단과 스폰서십을 통해 스포츠 마케팅을 강화한다. 이디야커피는 오는 2025-2026시즌을 맞아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남자 농구단과 마케팅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스포츠의 긍정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지역 사회와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해 고객들에게 브랜드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

2

금호타이어-경기북부경찰청, 교통질서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금호타이어가 경기북부경찰청과 함께 교통사고 예방과 안전한 교통문화 조성을 목표로 ‘교통질서 캠페인’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금호타이어는 극장 비상대피도 및 골프존 비상대피도 안내 광고에 등장하는 캐릭터 ‘또로·로로’와 경찰청 캐릭터 ‘포돌이·포순이’가 함께 도로 현장에서 안전한 교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활동하는 영상을 제작하였다.

3

트라이포럼, '1기 트럼프 책사' 오브라이언과의 특별대담… APEC 정상회담 직전 한미관계 긴급 진단할 듯
[메가경제=정호 기자] 10월 31일 경주에서 개최될 APEC 정상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의 관세협상과 조지아주 사태 등 한미관계과 연관된 여러 이슈들을 짚어보는 특별대담이 열린다. 2일 트라이포럼에 따르면 ‘한·미관계 긴급 진단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