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 개막… '지속가능한 지하수 활용' 논의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2 15:21:35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제주삼다수를 생산·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백경훈)가 주최하는 ‘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The 14th Jeju Water World Forum)’이 2일 제주에서 개막한다.


이번 포럼은 '지하수 가치 재조명과 지속 가능한 활용'이란 주제 아래 지하수 자원의 중요성을 알리고 먹는샘물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개발공사, 제주연구원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제주개발공사가 주관하며 환경부, 국제수리지질학회(IAH),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후원한다. 

 

▲ 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이 개막했다.

포럼 첫날인 2일에는 ‘제주-하와이 물순환 시스템’을 주제로 한 공동 세미나를 시작으로 개회식과 기조 강연이 진행되며, ‘지하수, 그 가치를 재조명하다’를 주제로 한 발표 세션과 ‘글로벌 지하수 자원의 가치 창출 및 활용’에 대한 전문가 패널 토론이 이어진다.

기조강연자로 나서는 국제수리지질학회 마르코 프띠따(Marco Petitta) 부회장은 ‘지하수 자원의 숨겨진 가치와 미래 역할’을 테마로 “지하수는 인류와 환경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지구 담수 약 95%가 지하수로 이뤄져있으며 재생률도 높다”, “하지만 지하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과소평가 되고 있어, 국제수리지질학회에서는 지역사회부터 국제사회에 이르기까지 지하수 중요성의 가치를 알리고 있다”며 지하수 인식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소개한다.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김형수 학회장은 ‘대한민국 지하수의 활용 가치와 새로운 기회’를 주제로 “지하수는 우리나라 생활용수와 농업용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와 물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핵심 자원”이라며 “지하수는 연중 안정적인 수질을 유지하고 있어 지표수에 비해 가뭄과 오염에 강하다”고 설명한다. 아울러, “지하수는 물 순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보충될 수 있는 자원으로, 적절한 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진다면 장기적으로 수자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지하수 자원의 장기적 관리 및 꾸준한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경석 박사는 ‘먹는샘물 산업에서 지하수 자원의 가치 극대화 방안’을 논제로 “지하수는 전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음용수로 이용하는 중요한 자원”이라며 “지하수는 경제적, 환경생태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먹는샘물 산업에서의 지하수 관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지하수의 다각적인 가치를 재조명한다.

특히 올해 포럼에서는 전문 학술행사 외에도 지하수 및 제주물의 가치를 직접 느껴볼 수 있는 다양한 체험형 행사도 만나볼 수 있다. 제주삼다수 수원지의 우수성과 삼다수의 친환경 가치를 전달하는 고객 체험 프로그램 및 전시, 지하수 명소 필드트립 등 다채로운 활동을 통해 많은 대중에게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하수와 삼다수의 우수성을 알린다.

고객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제주삼다수 워터 블라인드 테스트 △병뚜껑 업사이클 키링 만들기 △재생종이 화분 다육이 심기 △아로마큐브(친환경 비누) 모빌 만들기가 진행된다. 행사장 내 제주삼다수 수원지의 청정·우수성 및 친환경 가치를 알리는 전시존도 운영된다.

포럼 마지막 날인 3일에는 제주 지하수 명소 필드트립 ‘물 길 따라 떠나는 제주물 어드벤처: 제주지하수의 신비를 찾아서’가 진행된다. 제주 용천수 생성과정 및 제주 곶자왈 지질 체험과 제주삼다수 스마트팩토리를 탐방하는 등 제주물의 생성 원리와 활용 현장을 살펴보는 견학이 진행될 예정이다.

백경훈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을 통해 지하수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을 논의하며 미래 수자원 보전·관리에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제주개발공사는 앞으로도 제주삼다수를 비롯한 제주물 자원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국내외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2

[현장] 성균관대학교EMBA SM포럼 세미나, 강정수 대표 "AI 경제, 비즈니스 판도 뒤흔든다"
[메가경제=정호 기자] "AI가 없으면 회사에 가라고 했는데 컴퓨터 안 주면서 일하라는 거랑 똑같다. 미디어 소비라든지 소통이 어려워지기 시작하고 커머스가 불편해지기 시작하는 등 업무가 어려워지는 사회가 온다. AI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강정수 블루닷 에이아이(AI) 연구센터장이 남긴 말이다. 강 센터장은

3

티웨이항공, 청주-발리 노선 운항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청주에서 출발하는 동남아시아 발리 정기 노선을 운항한다고 26일 밝혔다. 티웨이항공이 25일부터 청주-발리(덴파사르) 노선을 운항하며 다가오는 휴가 기간을 앞두고 청주발 동남아시아 하늘길 확대에 나섰다. 운항 당일 청주국제공항에서는 티웨이항공 임직원과 청주국제공항 관계자가 함께한 가운데 운항 기념 행사가 열렸다. 이번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