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자, “삭발 했을 때 대시 최고 많았다” →채리나 “건달 교제설도...”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8 15:57:25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가수 춘자가 데뷔 당시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삭발 스타일에 얽힌 비하인드를 공개한다. 

 

▲ 19일 방송하는 '놀던언니'에서 춘자가 과거 열애설에 대해 깜짝 고백한다. [사진=E채널, 채널S]

 

19일(화) 밤 8시 40분 방송하는 E채널·채널S ‘놀던언니’ 4회에서는 채리나X이지혜X나르샤X아이비X초아도 벌벌 떨게 만드는 90년대 ‘강철 언니’ 김현정, 지니, 춘자가 게스트로 출격해, 화끈한 ‘노필터 입담’과 흥을 폭발시키는 모습이 펼쳐진다.

 

이날 춘자는 “가요계에 데뷔한 계기”를 묻는 언니들의 질문에, 2001년 ‘뉴리안’이란 이름으로 데뷔해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했다가 2004년 ‘춘자’로 재데뷔했다는 사실을 밝힌다. 이에 이지혜는 당시 파격적이었던 춘자의 모습을 언급하며 “신인 느낌은 아니었다”고 말하고, 채리나는 “나는 ‘저런 돌+I가 다 있나’ 했다”고 솔직하게 표현해 웃음을 안긴다. 춘자는 “당시에 ‘센 언니’, ‘폭발 가창력’ 이런 표현은 있었지만, ‘걸크러시’란 수식어는 내가 처음”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낸다.

 

특히, 파격 삭발 헤어스타일과 직설적인 음악에 대해 누구 아이디어였는지 모두가 궁금해 하자, 춘자는 “19세 때, 머리를 잘못 잘라서 아예 빡빡 밀었는데 예쁘더라. 그래서 그냥 밀고 다녔다”고 쿨하게 답한다. 그러면서 “당시 신인들이 보통 300~500만 원을 받고 계약했는데, 난 5천만 원을 받고 계약했다”고 덧붙여 언니들의 입을 떡 벌어지게 한다. 나아가 춘자는 ‘싸움짱’ 이미지 때문에 해외 킥복싱 대회에서 섭외가 와서, 진짜로 링에 오를 뻔했던 비화도 공개해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반면, 이지혜가 “센 이미지 때문에 남자들이 다가가긴 어려웠을 것 같다”고 연애사를 떠보자, 춘자는 “삭발일 때 대시가 제일 많았다. 진짜 ‘쌘캐’ 남자들이 나를 좋아했다”는 반전 대답을 내놓는다. 이에 채리나는 “어디 지역 건달과 사귄다, 어느 조직 두목이 춘자를 좋아한다는 루머까지 있었다”고 생생한 증언을 더한다. 이후 춘자는 “지금은 짝사랑하는 사람이 있다”고 고백해 모두의 귀를 쫑긋하게 만든다.

 

춘자의 파격적인 콘셉트 비화와 연애담을 비롯해 김현정, 지니가 들려주는 그 시절의 ‘노필터’ 비하인드 스토리는 19일(화) 밤 8시 40분 방송하는 E채널·채널S 공동 제작 예능 ‘놀던언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2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1330억원 규모 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를 위해 1330억원 규모의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SK스토아 등 ICT 패밀리와 함께 매년 설·추석 명절 전 대금 조기 지급을 시행해왔다. 올 추석에도 전국 1430여개 협력사와 250여개 유통망에 약 1330억원을 연휴 시작 전에

3

한화손해보험, 새 브랜드 모델에 배우 고윤정 발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화손해보험이 새 브랜드 전속모델로 배우 고윤정을 선정하고 다양한 브랜드 캠페인 활동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새 전속 모델로 발탁된 배우 고윤정은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무빙’, ‘환혼: 빛과 그림자’ ‘헌트’, 그리고 공개를 앞둔 ‘이 사랑 통역 되나요?​’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