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희 “사오정이란 닉네임? 우리 애들 이름 합친 것” 아빠미 뿜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8 09:44:36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독박투어’의 장동민이 호주에서 맞춘 ‘독박즈’의 우정 반지를 뺏다가 들켜(?) 멤버들의 분노를 산다.

 

▲ 9일 방송하는 '독박투어'에서 5인방이 호주에서 굴 맛집을 방문한다. [사진=채널S, MBN, 라이프타임]

 

9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채널S·MBN·라이프타임 공동 제작) 18회에서는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호주의 유명한 ‘생굴 맛집’을 찾아가 야성미(?) 넘치는 먹방을 선보이는 모습이 펼쳐진다.

 

이날 ‘독박즈’는 호주 저비스 베이에서 유명한 ‘생굴 맛집’에 가기로 하고 숙소를 나선다. 그러던 중, 김준호는 전날 록스마켓에서 구입한 ‘우정 반지’를 확인해보다가 장동민이 이를 끼고 있지 않자, “항상 끼고 있기로 했잖아!”라며 버럭 한다. 유세윤도 맞장구치며 “이제부터 이동하는 장소마다 우정 반지를 끼고 인증샷을 촬영하자”고 제안한다.

 

‘우정 반지’ 소동 후, 장동민은 직접 제작해온 ‘독박즈 단체복’을 선물해 훈훈함을 안긴다. 특히 단체복에는 ‘독박즈’의 개별 닉네임이 새겨져 있는데, 김대희는 ‘사오정’란 닉네임에 대해 "우리 애들 이름을 한 글자씩 합쳐서 ‘사오정’이라고 만들었다“며 스윗한 ‘아빠미(美)’를 뽐낸다. 반면, 유세윤은 ”(내가) 잘 비꼬는 편이라 ‘스크류’라고 정했다“고 자폭한다. 뒤이어 김준호는 ‘찰리김’, 장동민은 ‘ESG’, 홍인규는 ‘다람쥐’라고 닉네임을 공개하는데, 김준호는 ”이런 쓰레기 같은“이라고 ‘ESG’의 의미를 재해석(?)해 폭소탄을 날린다. 

 

한바탕 웃음 후, 단체복으로 환복한 ‘독박즈’는 “보양하러 갑시다”라며 차량에 탑승한다. 뒤이어 김대희는 “주먹만큼 큰 굴 먹어보고 싶었어”라며 기대감을 내비치고, 김준호 역시 “카사노바가 돼 봅시다!”라며 남성 활력에 좋은 굴 먹방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다. 잠시 후, 식당 앞에 도착한 멤버들은 “먹고 (독박 게임)해야 맛있게 먹더라고”라며 ‘선 먹방 후 게임’에 합의한다. 드디어 생굴을 푸짐하게 먹어치운 김준호는 “굴 먹는 모습으로 점원한테 어필해서 꼴찌가 독박을 쓰는 게 어때?”라고 ‘식사비 내기’ 게임을 제안한다. 이에 동의한 멤버들은 점원이 보는 앞에서 각자의 매력을 어필하는 ‘굴 먹방’을 선보인다. 과연 직원이 선택한 ‘굴 먹방’ 1위 카사노바와, 꼴찌 ‘독박자’가 누구일지에 궁금증이 치솟는다.

 

‘개그맨 찐친’ 5인방이 예능 사상 최초로 여행비를 결제하는 초유의 여행 리얼리티인 ‘니돈내산 독박투어’ 18회는 오는 9일(토) 저녁 8시 20분 채널S, MBN, 라이프타임에서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시아나 마일리지, 대한항공과 합병후에도 10년 사용 가능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대한항공은 30일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 10년간 별도 유지 원하는 시점에 대한항공 스카이패스 마일리지로의 전환 지원 우수회원 통합방안 마일리지 사용계획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발표했다. 대한항공은 6월 12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제출한 바 있으며, 공정위로부터 수정보완 요청을 받아 9

2

대한장애인양궁협회,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6개 메달 획득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대한장애인양궁협회는 지난 9월 광주에서 개최된 2025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 등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대회는 47개국 443명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대한민국 선수단은 종목별로 고른 입상을 통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특히 W1 여

3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