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 지난해 3조8656억원 ESG 사회적 가치 창출

송현섭 / 기사승인 : 2023-09-19 10:26:48
  • -
  • +
  • 인쇄
글로벌기준 맞춰 성과 측정한 ‘ESG 임팩트 보고서’ 발간해
전년보다 ESG성과 47% 늘고 질적으로 다방면 고른 성장세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2022 ESG 임팩트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그룹에서 추진해온 ESG 활동 결과총 3조8656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ESG 성과는 2021년 2조6227억원보다 47%가량 늘어난 것이며 측정사업 수도 2021년 57개에서 지난해 187개로 228%나 급증했다. ESG 임팩트 측정은 기업의 다양한 활동들이 외부에 미치는 효과를 화폐 가치로 나타낸 것이다.
 

▲하나금융그룹이 ‘2022 ESG 임팩트 보고서’를 발간해 지난해 그룹에서 추진해온 ESG 활동 결과 총 3조8656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공개했다. [사진=하나금융지주]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 이니셔티브 IMP와 VBA, SROI 등이 개발한 화폐가치 측정 표준에 맞춰 글로벌 적용 방식과 원칙을 준용하고 있다. 글로벌 기준에 따른 하나금융그룹의 ESG 활동 전반의 항목별 성과는 ▲환경 950억원 ▲사회 9442억원 ▲지배구조 및 경제 간접 기여 2조8263억원으로 측정됐다.

특히 지난해 ESG 임팩트 측정에서는 하나금융지주와 은행뿐만 아니라 하나증권·하나카드 등 4개 관계사와 공익재단까지 측정대상으로 확대됐다. 이를 통해 그룹의 전사적 ESG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측정시스템을 구축했다는 것이 그룹 관계자의 설명이다.

신재용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는 보고서를 감수한 뒤 “올해 하나금융그룹이 보고한 사회적 성과는 엄밀하고 고도화된 평가 방법론에 따라 산출된 보수적 수치”라고 밝혔다.

이우종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역시 “그린워싱의 경우처럼 사회적 성과를 부풀려 보고하면 정보이용자들에게 혼란만 초래할 수 있다”며 “하나금융그룹처럼 산출된 수치와 방법론의 타당성을 다각도로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6월 생물다양성 관련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 ‘TNFD(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PBAF(생물다양성 회계금융연합)’에 가입하는 등 글로벌 ESG 이슈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또 지난 2006년부터 16년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환경·사회·지배구조·사회공헌 등 그룹의 ESG 활동을 공유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을 확대해 지속가능 경영을 실천해오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현섭
송현섭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넥써쓰, 크로쓰x 스테이블코인 테더-게임토큰 거래쌍 도입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30일 넥써쓰 관계자에 따르면 넥써쓰가 블록체인 통합 앱 크로쓰x(CROSSx)에 테더(USDT)와 게임토큰 거래쌍을 새롭게 도입한다. 기존의 크로쓰 토큰($CROSS)과 게임토큰 거래쌍 외에 테더를 활용해 직접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이번 거래쌍 도입은 이용자 편의성과 접근성 확대를 위한 조치다.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통해 별도의

2

KB금융,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28일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산업 재해 예방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서 ‘찾아가는 산업현장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언어·문화적 차이로 안전수칙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KB금융은 이번 부산 지역 안전교육을 시작으로 올

3

NH농협은행, 외국인 근로자 위한 'NH K-외국인신용대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NH K-외국인신용대출'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상품은 지난 25일 출시한 NH글로벌위드 패키지의 후속 상품으로 해외인력 유입 증가에 따른 금융 수요에 대응하고, 외국인 고객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대출대상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