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송현섭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폭증하면서 급기야 주요 은행들의 건전성에도 빨간 등이 들어왔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은 올해 들어 9월까지 3조2201억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해 처분했다. 특히 은행이 대출 원리금을 포기하고 채권을 장부에서 지운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 1조5406억원의 2배를 넘었고 작년 연간 2조2711억원을 크게 웃돌고 있다.
![]() |
▲글로벌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폭증하면서 급기야 주요 은행들의 건전성에도 빨간 등이 들어왔다. 주요 시중은행 ATM기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재무건전성 유지에 만반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나 가계와 기업을 막론하고 급등한 연체율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며 “그동안 쌓아둔 대손충당금을 상당 기간 상각 처리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정부의 금융지원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앞으로 연체 증가는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은행들이 자산 건전성 제고를 위해 올 4분기에도 부실채권을 털어버리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5대 은행은 올해 3분기에만 1조73억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대손충당금으로 메우거나 부실자산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처리했다. 앞서 2분기 1조3560억원보다 3487억원 줄었으나 지난해 3분기 5501억원에 비해서는 1.83배 수준이다.
9월말 기준 5대 은행 평균 대출 연체율은 0.31%인데 가계 0.27%, 기업 0.34%로 나타났다. 직전 달인 8월말 평균 대출 연체율이 0.34%였던 것에 비해 0.03%P 내렸으나 0.18%을 기록했던 지난해 9월에 비해 0.13%P 오른 것이다.
NPL(고정이하 부실여신)비율도 한 달새 평균 0.29%에서 0.26%로 0.03%P 내렸으나 0.21%였던 전년에 비해서는 0.05%P 상승했다. 다만 신규 부실채권 증감 추이를 분석할 수 있는 신규 연체율 평균의 경우 0.09%로 지난 8월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주요 은행들은 가계와 기업을 막론하고 연체율 급등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리스크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앞으로도 연체율이 꾸준히 오를 것으로 예상돼 한계기업과 업권별 현황, 유동성을 고려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이며 “대손충당금 적립과 연착륙 대책을 통한 손실 흡수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