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 빨라졌다…"고위험군, 지금이라도 백신 접종 서둘러야"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6 16:11:27
  • -
  • +
  • 인쇄
가족 내 고위험군이 있다면 백신 접종 ‘필수’
건강한 성인 백신접종 시 10명 중 7명이상 예방 효과 높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올해 독감 유행이 지난해보다 두 달 가까이 앞당겨지며 확산세가 거세지고 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11월 초 기준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환자는 50.7명으로, 최근 10년 같은 기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7~18세 학령기 아동·청소년 환자가 크게 증가하며 가족 간 전파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독감에 이미 걸린 이들은 백신 접종 필요성을 낮게 평가하기 쉽지만, 전문가들은 “독감 바이러스는 다양한 아형이 존재해 재감염 가능성이 높다”며 접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고위험군은 독감백신 접종을 받아야한다. 

독감백신은 접종 후 항체 형성까지 약 2주가 소요되며, 국내 독감은 12~1월 1차 유행 후 3~4월 2차 유행이 나타나는 패턴을 보여 11월 말~12월 초 접종도 충분히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백신은 감염 예방뿐 아니라 고위험군의 폐렴·입원 등 중증 합병증 위험을 낮추는 데 의미가 크다.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윤지현 교수는 “유행이 시작됐다고 접종 시기가 늦었다고 볼 수는 없다”며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12월 초까지 완전히 맞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특히 고령층, 만성질환자, 임산부, 영유아, 면역저하자, 의료기관·요양시설 종사자 등 고위험군에는 매년 독감백신 접종이 강하게 권고된다. 윤 교수는 “고위험군의 경우 독감이 폐렴, 호흡부전 등 치명적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본인이나 가족 중 고위험군이 있다면 예방접종과 개인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독감은 같은 시즌에도 바이러스 유형이 달라지면 재감염될 수 있다. 올해 국내 사용 독감백신은 A형 2종(H1N1, H3N2)과 B형 빅토리아 계열을 포함한 3가 백신이다. 기존 4가 백신에 포함되던 B형 야마가타 계열은 2020년 3월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WHO 권고로 올해부터 제외됐다. 전문가들은 3가 백신과 4가 백신의 예방효과와 안전성은 동등하며, 현재 실제 유행 바이러스에 최적화돼 있다고 설명한다.

윤 교수는 “독감백신은 건강한 성인에서 70~90%의 발병 예방효과가 있다”며 “65세 이상에서는 발병 예방효과가 다소 낮지만 입원은 50~60%, 사망은 약 80% 예방 효과가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유행이 이례적으로 일찍 시작돼 내년 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은 고위험군은 지체 없이 접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드림에이지, ‘아키텍트’ 신규 서버 ‘라그나르3’ 오픈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드림에이지는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이하, 아키텍트)’이 신규 서버 ‘라그나르3’을 오픈하고, ‘무한회랑’ 등 신규 콘텐츠 업데이트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아키텍트는 신규 서버에서 플레이하는 이용자를 위해 전용 출석부를 비롯한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을 마련했다. ‘라그나르3’ 이용자는 일정 레벨 도달 필드 보스 처치 대범

2

IBK기업은행, IBK예술로 3호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한국메세나협회와 산업단지 공공미술 프로젝트 ‘IBK예술로 3호’를 성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IBK예술로는 문화예술을 통해 전국 주요 산업단지의 환경을 개선하고 중소기업 근로자와 지역 주민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다.기업은행은 지방의 문화예술 인프라 확산 및 산업단지

3

네이버, 두나무와 계열 통합 추진…"웹3 환경 속 글로벌 도전"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자사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계열로 편입하고, 웹3 및 미래 디지털 금융산업 도전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네이버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계열로 편입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같은 날,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이사회에서도 해당 건이 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