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중심축 온라인으로…5월 비중 첫 53% 돌파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5 17:06:09
  • -
  • +
  • 인쇄
유통업, '명품·식품' 견인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5월 주요 유통업체(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의 총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7.0%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온라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0%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고, 오프라인은 0.9% 늘며 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이번 5월은 휴일 수 증가(전년 대비 +1일)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구매 건수는 2.8% 감소했다. 그러나 고가품 수요 확대로 방문 한 건당 지출 금액이 3.8% 증가하면서 전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 유통업이 온라인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업태별로는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각각 0.2%, 2.3% 증가하며 소폭 개선됐다. 특히 백화점은 명품 판매가 늘며 점포당 매출이 7.7% 증가했다. 반면 편의점은 전월에 이어 0.2% 감소하며 역성장을 이어갔다. 준대규모점포(SSM)는 1.0% 증가해 3개월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

온라인 부문은 여전히 고성장을 유지했다. 음식 배달, e-쿠폰, 여행·문화 서비스 등 ‘서비스/기타’ 부문 매출이 무려 37.3% 증가하며 성장세를 주도했다. 식품(18.2%)과 화장품(7.4%)도 강세를 보인 반면, 패션의류(△4.6%), 스포츠(△12.7%) 부문은 부진이 지속됐다.

상품군별로는 오프라인에서 명품(주얼리·시계 등)이 8.1% 증가하며 매출을 견인했고, 식품(1.0%)은 소폭 상승했다. 반면 가전/문화(△7.8%), 패션/잡화(△3.7%) 등은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점포 수 변화도 눈에 띄었다. 대형마트(△1.6%), 백화점(△5.0%) 등 주요 업태는 점포 수가 줄었지만, SSM은 3.1% 증가했다. 오프라인 전반의 점포당 매출은 평균 7.1% 증가했으며, 특히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각각 7.7%, 1.8% 상승했다.

오프라인 매출 비중은 지난해 5월 49.8%에서 올해 46.9%로 2.9%포인트 하락한 반면, 온라인은 53.1%로 증가하며 유통 구조의 온라인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 관계자는 “온라인은 구조적 성장 흐름을 지속하고 있고, 오프라인은 고가품 수요에 기반해 회복세로 돌아섰다”며 “다만 소비심리가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어, 유통 업계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