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세윤, "타잔 된 느낌~" 고래상어와 프리다이빙까지 '환상적'!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7 08:51:13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투어2’ 김준호가 ‘발롯 먹기 벌칙’을 피할 수 있는 극단적 방법(?)까지 고민하면서 심적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 8일 방송하는 '독박투어2'에서 세부 고래상어 관찰 투어 현장이 공개된다. [사진=채널S]

 

8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2’(채널S·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 22회에서는 필리핀 세부로 떠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오슬롭 해변에서 고래상어 관찰 투어에 나서는 한편, 세부에서의 ‘최종 독박자’ 벌칙인 ‘발롯(곤달걀) 먹기’를 피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공개된다.

 

이날 ‘독박즈’는 ‘세부 유경험자’ 장동민의 리드 하에 고래상어 관찰 투어를 떠난다. 오슬롭으로 이동하는 차 안에서 홍인규는 ‘최종 독박자’ 위기를 맞은 김준호에게 “형은 머리 좋으니까, 발롯을 피할 수 있는 방법 생각해 보라”며 걱정을 가장한 ‘약 올리기’에 나선다. 김준호는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발롯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고래상어 몸속에 내가 들어가는 것 밖에 없네”라고 극단적인 답을 내놓아 모두를 폭소케 한다.

 

잠시 후, 목적지에 도착한 ‘독박즈’는 가이드와 인사를 나누고, 장동민은 “내가 다 예약해 놨다~”고 큰소리친다. 이에 ‘독박즈’는 “세부에서 다 통하는 ‘장무식’(장동민+‘카지노’의 ‘차무식’ 캐릭터)이네~”라며 장동민의 능력치에 ‘엄지 척’을 한다. 유쾌한 분위기 속, 안전 교육을 마친 ‘독박즈’는 드디어 고래상어 관찰에 들어가는데 김준호는 홀로 “진짜 상어 나오는 거 아니지?”라며 벌벌 떨어 짠내를 풍긴다. 

 

드디어, 거대한 고래상어가 나타나고, “사람을 물지 않는다”라는 설명에 따라 ‘독박즈’는 차례로 입수해 고래상어 옆에서 스노클링을 한다. 이때 고래상어를 바로 옆에서 관찰한 홍인규는 “입이 진짜 크다. 대희 형 입 같아~”라며 놀라워하고, 유세윤은 ‘아쿠아 맨’에 빙의해 프리다이빙을 시도한다. 이어 그는 “타잔이 된 느낌이다. 세부에서 난 이게 1등!”이라며 행복해한다. 그런데 얼마 후 유세윤은 “방금 고래상어가 꼬리로 내 OO을 치고 갔어”라며 자신의 신체 일부를 가리킨다. 이에 김준호는 “행운이 올 거야~”라고 ‘19금 티키타카’를 폭발시켜 웃음을 안긴다.

 

필리핀 세부로 떠난 ‘독박즈’의 환상적인 고래상어 관찰 투어 현장은 8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2’ 22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채널S는 SK브로드밴드 Btv에서는 1번, KT 지니TV에서는 44번, LG U+TV에서는 61번에서 시청 가능하다. 아울러 OTT 플랫폼 넷플릭스에서도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찰, 국정자원 화재 전담팀 가동...원인 수사 본격화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며 본격 수사에 나섰다. 28일 대전경찰청에 따름녀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구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전담 수사팀은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20명 규모로 알려졌다. 해당 팀은 화재가 발생한 '무정전·전원

2

100만 인파 몰린 불꽃축제 '성료'…'대박' 터진 편의점·호텔
[메가경제=정호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편의점과 호텔이 높은 매출을 거뒀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불꽃축제에는 한강공원이 인접한 여의나루역을 무정차 통과할 정도로 인파가 몰렸다. GS25 편의점 10개 매장은 지난 20일 토요일 대비 하루 매출이 850% 급증했다. 특히 오후

3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