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넘패' 안정환 "한번 같이 가자"...'고기파' 이혜원에게 텍사스 여행 플렉스?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0 09:43:03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A ‘선 넘은 패밀리’의 MC 안정환이 ‘고기파’ 이혜원에게 텍사스 여행을 급 제안해 ‘찰떡 부부 케미’를 자랑한다. 

 

▲'선 넘은 패밀리'에 '미국 패밀리'가 출연해 텍사스 투어로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하고 있다. [사진=채널A]

 

11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54회에서는 안정환, 이혜원, 유세윤, 송진우가 스튜디오 MC로 자리한 가운데, 한국으로 선 넘은 지 23년 차 샘 해밍턴, 15년 차 크리스, 7년 차 플로리안이 패널로 함께해 ‘미국 패밀리’ 이해리X미겔의 텍사스 투어를 함께 지켜보며 열띤 리액션과 알찬 정보를 더하는 모습이 펼쳐진다. 

 

이날 ‘미국 패밀리’ 이해리X미겔은 “최근 결혼식을 올리느라 오랜만에 인사드린다”며 반가운 근황을 전한다. 두 사람의 결혼 소식에 모두가 축하의 박수를 보내고, 직후 이해리는 “한국에서 1차 신혼여행을 즐기고, 미국 텍사스로 2차 신혼여행을 오게 됐다”며 텍사스 투어 현장을 공개한다. 가장 먼저 텍사스 포트워스 안에 있는 ‘스톡야즈’를 방문한 이해리는 “이곳은 1800년대 후반 카우보이들이 소, 말들을 이동시킬 때 꼭 들렀던 ‘카우보이들의 수도’로 유명하다”고 설명한 뒤, “카우보이 문화를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서 근처 상점에서 카우보이 모자를 구입한다. 

 

그런 뒤, 카우보이가 소떼를 모는 장면을 재연한 ‘캐틀 드라이브 쇼’와 스릴 넘치는 로데오 경기를 관람한다. 스튜디오에서 이를 지켜보던 안정환은 “장난 아니다. 너무 재밌겠다”라고 감탄한 반면, 유세윤은 “난 살면서 오락실 로데오만 봤지~”라고, 이혜원은 “(압구정) 로데오 거리만 가봤지~”라고 반응해 웃음을 안긴다. 

 

로데오 경기 관람 후에는 “텍사스스러운 것을 먹으러 왔다”며 바비큐 매장에 들린다. 여기서 두 사람은 촉촉한 바비큐 립을 뜯으며 폭풍 먹방을 펼치는데, 안정환은 “고기 좋아하는 사람은 무조건 텍사스 가야겠네. (혜원아) 나중에 한 번 가자~”라고 해 ‘아내바라기’ 면모를 드러낸다. 이에 이혜원은 “메모를 해두겠다”라고 화답해 모두를 폭소케 한다.

 

텍사스의 박진감 넘치는 로데오 체험과 바비큐 먹방이 시선을 사로잡은 ‘미국 패밀리’ 이해리X미겔의 텍사스 투어는 11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54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채널A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맵부심 용사, 도전 받는다" GS25, 메이플스토리 '용사라면' 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GS25가 대한민국 최고 매운맛에 도전장을 내밀었다고 29일 밝혔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매년 매운맛 라면 인기가 높아지는 가운데 넥슨의 인기 온라인게임 ‘메이플스토리’와 국내 최고 맵기의 ‘용사라면’을 출시했다. 젠지 세대를 중심으로 ‘맵부심(매운맛 자부심)’ 문화와 ‘매운 음식 먹방 챌린지’가 확산됨에 따라

2

유유제약, 펌핑 한 번으로 완성되는 보리차 ‘편해보리’ 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유유제약은 1회 펌핑만으로 1L 보리차를 완성할 수 있는 신제품 ‘편해보리’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편해보리’ 400g 한 병으로 약 160L(1L 기준)의 보리차를 만들 수 있어 가정에서 손쉽게 다량 음용이 가능하다.제품은 100% 국산 유기농 보리를 원료로 사용하며, 추출부터 포장까지 5중 필터링 공정을 거쳐 미세 불순물

3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1조3834억원…전년比 62%↑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액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영업이익률 47%), 순이익 12조5975억원(순이익률 52%)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대비 각각 62%, 39% 증가했다. 회사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고,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이 증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