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170만 명, ‘침묵의 신장질환’ 조기 점검 필요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7 10:16:04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신장 합병증인 당뇨병성 콩팥병의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나왔다. 

 

분당재생병원 이장한 주임과장은 “초기 당뇨병성 콩팥병은 무증상이지만, 혈당 조절이 되지 않고 당뇨병이 진행될수록 단백뇨가 증가하며 부종과 잦은 야간 배뇨가 나타난다”며 “고혈압과 함께 관리하지 않으면 신장 기능 저하 속도가 빨라져 만성 콩팥병으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 분당재생병원 이장한 주임과장

콩팥은 혈액을 여과해 노폐물을 제거하는 미세혈관 기관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내 만성 콩팥병 환자는 전체 인구의 8.4%로 약 400만 명에 달하며, 실제로는 10% 수준으로 추정된다. 당뇨병 환자 약 500만 명 중 20~40%가 신장 합병증을 겪으며, 약 170만 명이 당뇨병성 콩팥병으로 진행한다.

당뇨병성 콩팥병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으나, 병이 진행되면 부종, 고혈압, 요독 증상이 나타난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사구체여과율(GFR)이 15ml/min/1.73㎡ 미만으로 떨어져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에 이를 수 있다.

진단은 소변검사에서 단백뇨를 확인하고, 혈액검사를 통해 사구체여과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하루 알부민뇨 300mg 이상은 당뇨병성 콩팥병을 의심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만성 콩팥병이 진행되면 혈액 내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빈혈, 뼈 대사 관련 호르몬 이상 등이 나타나고, 말기에는 구역, 구토, 식욕감소, 피로감, 가려움증 등 요독 증상이 발현된다.

이 주임과장은 “당뇨병 환자는 정기적으로 내분비내과와 신장내과를 방문해 단백뇨와 신장 기능을 점검해야 한다”며 “당뇨병성 신장 질환은 진행 후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솥도시락, ‘돼지고기’ 앞세운 단백질 강화 메뉴로 시장 공략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단백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관련 제품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은 2018년 813억 원 규모에서 2023년 4000억 원 수준으로 성장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주요 단백질 공급원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존에는 닭가슴살과

2

무신사 트레이딩, ‘영등포 타임스퀘어’에 디키즈 숍인숍 매장 오픈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무신사 브랜드 비즈니스 전문 자회사 ‘무신사 트레이딩(MUSINSA TRADING)’이 공식 유통하는 글로벌 워크웨어 브랜드 ‘디키즈(Dickies)’가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3층에 신규 매장을 선보인다. 무신사 트레이딩은 지난 2024년부터 국내에 디키즈를 본격적으로 유통하며 브랜드 헤리티지를 바탕으로 현지 시장에 맞춘 상품 기획

3

리복, 글로벌 피트니스 커뮤니티 ‘F45 트레이닝’과 파트너십 체결
[메가경제=심영범 기자]LF가 전개하는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리복(Reebok)’은 글로벌 피트니스 브랜드 ‘F45 트레이닝(이하 F45)’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F45는 호주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장 중인 글로벌 피트니스 브랜드로, 45분간의 팀 기반 운동을 통해 근력, 심폐 지구력, 신체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기능성 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