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이후 가장 높은 수준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작년 3월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는 금융권의 대규모 상생금융 실천 노력에도 국내은행 연체율이 지난 2019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0.51%를 기록했다.
24일 금융권과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은행들은 올해 2월말 기준 연체율이 0.51%를 기록하며 전월대비 0.06%P, 전년 같은 달에 비해 0.15%P 상승하면서 2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 |
▲작년 3월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는 금융권의 대규모 상생금융 실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은행 연체율이 지난 2019년 5월이후 가장 높은 0.51%를 기록했다. 5대 시중은행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
작년말 은행들의 대대적인 채권 정리로 4조원 넘는 부실채권이 상각되면서 일부 하락했던 연체율이 올해 1월 0.45%P로 다시 오른 뒤 다시 0.51%로 상승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실제로 올 2월 국내은행들의 원화대출 기준 신규 연체 발생액은 무려 2조9000억원에 달해 앞서 은행권에서 약속했던 2차 상생금융 규모 2조원+α 수준을 훌쩍 넘고 있다.
같은 달 1조3000억원 은행 연체채권이 정리됐는데 신규 연체 발생액이나 채권정리 규모 모두 지난 1월과 비슷하나 2월부터 본격화된 2차 상생금융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단 2월 은행 신규 연체율은 0.13%로 지난달과 같았으나 0.09%였던 작년 같은 달에 비해서는 0.04%P 올랐는데 기업이든 가계든 모두 연체율이 상승했다. 기업대출은 0.59%로 0.5%였던 1월보다 연체율이 0.09%P 올랐다.
대기업이 0.18%로 전월대비 0.06%P로 소폭 상승한 것에 비해 중소기업의 경우 0.7%로 전월대비 0.1%P, 중소법인 역시 0.76%로 한 달간 0.14%P 올라 악화된 연체율 추이를 보여줬다.
또 2월 은행 가계대출은 0.42%를 기록해 1월 0.38%보다 0.04%P 올랐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0.27%로 전월대비 0.02%P, 신용대출 등 다른 가계대출이 0.84%로 1월보다 0.1%P 각각 상승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달 20일 소상공인·취약차주의 금융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상생금융 프로그램이 올해 2월말까지 1조265억원 집행됐다고 밝혔다. 특히 9개 은행은 지난해 3월부터 이자감면과 금리 인하조치 등을 통해 344만여명에게 총 9076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들의 상생금융 지원실적은 당초 금융당국에서 내세운 목표 및 기대효과 9524억원에는 미달하나 95.3%에 이르는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대규모 상생금융에도 불구하고 은행 연체율이 계속 오르고 부실채권을 손실충당금으로 상각해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1년여 넘게 금융권의 상생금융이 진행되고 상당한 소상공인과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실제 지원이 이뤄졌으나 명확한 효과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당장 올해 들어 가계·기업을 막론하고 연체율이 2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은 부실채권 발생에 대비해 손실충당금을 미리 설정하고 있는데 작년말 4조원 넘게 상각처리를 했는데 또다시 연체율이 오르는 것은 경제의 구조적 문제로 보인다”며 “정부·당국 요구에 따른 이자 지원과 금리 인하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2월 은행 연체율 상승과 관련해 은행들이 통상적으로 매 분기말에 연체채권을 정리하기 때문에 내달에는 연체율이 대폭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은 또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는 물론 부실채권 상각 및 매각을 통해 은행의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중동지역 정세를 비롯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은행들이 대손충당금 적립액을 확대해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토록 유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