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퇴직연금 고객 유치경쟁 쟁탈전

송현섭 / 기사승인 : 2024-04-23 15:18:07
  • -
  • +
  • 인쇄
1분기 IRP 위주로 200조원대 성장세 이어져
원리금 비보장 주식형 투자상품도 각광받아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한 디폴트 옵션과 올해 4월 들어 수수료 체제까지 개편되면서 은행권의 고객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3일 금융권과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은행권은 디폴트옵션제 시행 이후 증권·보험 등 다른 업역 사업자들을 크게 제치고 지난 3월까지 올해 1분기 기준 총 202조3522억원을 적립했다.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한 디폴트 옵션과 올해 4월 들어 수수료 체제까지 개편되면서 은행권의 고객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 ATM기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직전 분기인 작년말 기준 198조481억원에 비해 4조3041억원 늘어난 셈이다. 반면 같은 분기 증권업계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은 90조7041억원, 보험업계의 경우 92조6958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증권사들의 적립금은 작년 4분기에 비해 4000억원 정도 늘었으나 보험사들은 같은 기간 약 6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들이 수수료 등 특화 혜택과 수익성 강화를 내세운 포트폴리오 및 자산운용 전략으로 다른 업역 금융사의 퇴직연금 고객을 끌어온 셈이다.

아울러 퇴직연금 유형별 변동추이를 살펴보면 DC(확정기여)형과 DB(확정급여)형이 소폭 증가하거나 정체하는 것과 달리 IRP(개인형 퇴직연금)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실제로 1분기 IRP는 작년 4분기에 비해 4조4787억원 증가한 53조8733억원으로 성장세를 주도했다. 이에 비해 올해 1분기 DC형은 62조8638억원으로 작년말보다 1조2251억원 늘었고 DB형의 경우 85조6151억원으로 3개월새 1조3995억원이 줄었다.

올해 1분기 기준 적립금 순위는 41조1861억원의 신한은행이 은행권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뒤를 이어 KB국민은행이 37조9557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고 하나은행 34조7866억원, IBK기업은행 25조4188억원 등 순으로 많았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전반적인 수익률 제고를 위한 디폴트옵션 도입 이후 퇴직연금 사업을 영위하는 43개 금융사 중 몇몇 은행으로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그동안 운용성과를 포함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고려할 때 대형 은행들이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과거 차별성 없이 안정성만 추구하던 퇴직연금 운용방식에서 탈피해 원리금 비보장 ‘주식형’ 상품이 각광받는 시대가 오고 있다”며 “차별화된 수익성을 앞세운 사업자만이 200조원대로 성장한 퇴직연금시장의 경쟁에서 살아남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현섭
송현섭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풀무원,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 참가…동물복지 앞장
[메가경제=정호 기자] 풀무원식품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한 ‘제1회 동물보호의 날 축제’에서 동물복지 계란과 펫푸드 브랜드 ‘아미오’ 등 2개의 부스를 운영하며 동물복지 가치 확산 활동에 앞장섰다고 28일 밝혔다. 동물보호의 날 축제는 10월 4일 ‘동물보호의 날’을 맞아 마련된 사람과 동물의 공존 문화를 확산하는 국민 참여 캠페인이다. 제1회

2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신규·기존 고객에 모두 '만족' 평가
[메가경제=정호 기자] 르노코리아는 지난 주말까지 하남 스타필드에서 진행했던 ‘르노 팝업 스테이지’ 행사에서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와 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 체험 고객들로부터 큰 호평을 얻었다고 밝혔다. 출시 1주년을 맞은 그랑 콜레오스는 기존 구매 고객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난 바 있다. 28일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9월 17일부터 2

3

현대리바트, 캐릭터 피규어 토대로 'MZ 공략' 박차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리바트가 2030 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젊은 세대 코드에 맞춰 수제 공예품을 소개하는 전문관을 열고 서울 성수동에서 오프라인 팝업 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엔 캐릭터를 활용한 피규어를 선보이기로 한 것이다. 토탈 인테리어 기업 현대리바트는 ‘리바트 캐릭터’로 만든 피규어 6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