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6월 G7정상회의에 한국 공식 초청...문 대통령 사실상 수락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1-22 18:18:50
  • -
  • +
  • 인쇄
존슨 총리, 문대통령에 친서…"서울 P4G 정상회의 참여 확약"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오는 6월 영국에서 개최하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한국을 공식 초청했다.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은 22일 브리핑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한국의 G7 정상회의 초청을 재확인하고,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정상회의에 영국의 참석을 확약하는 내용의 친서를 문재인 대통령 앞으로 보내왔다”며 “이에 문 대통령도 답신을 발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오는 6월 영국에서 개최하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한국을 공식 초청했다. 문 대통령은 사실상 이를 수락했다. 사진은 22일 청와대에서 코스타리카 대통령과 통화하는 문재인 대통령 모습. [청와대 제공]

영국은 지난 16일(현지시간) G7 회의를 대면 방식으로 개최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한국과 호주, 인도 정상을 게스트 국가로 호명했다.

존슨 총리는 친서에서 “지난 통화에서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고,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양국 간 협력 의지를 확인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6월 영국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에 대통령을 모시게 된 것 역시 기쁘게 생각한다”고 했다고 강 대변인이 전했다.

존슨 총리는 “올해는 세계가 코로나 퇴치와 또 다른 팬데믹 예방, 자유무역 옹호, 탄소중립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및 제 26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 등의 목표에 매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논의에 한국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오는 11월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릴 제26차 유엔기후변화회의(COP2)를 주재한다. [AP=연합뉴스]

이에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고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G7 정상회의가 중요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적극 기여해 나갈 것”이라는 요지의 답신을 발송할 계획이라고 강 대변인이 전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직접 참석한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답신에 '성과를 거두도록 기여하겠다'는 내용을 담는 만큼 그렇게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존슨 총리는 이번 친서에서 오는 5월 서울에서 열리는 P4G 정상회의와 관련해 "초청에 감사드리며 참여를 확약한다"며 "이 회의는 COP26로 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승연 한화 회장, 수능 앞둔 임직원 자녀에 합격 기원 선물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그룹 임직원 자녀들에게 합격 기원 다가 세트와 격려 편지를 보냈다. 김 회장은 21년째 매년 같은 행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수만 명의 임직원 가족이 선물을 받아왔다. 5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서울 플라자호텔 베이커리 '블랑제리'에서 특별 주문 제

2

블록체인 금융기업 그루핀, 제도권 연계 ‘Stablecoin-as-a-Service’ 구조 발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기업 그루핀(Gurufin)이 규제 친화형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기술 페이퍼를 5일 공개했다. 그루핀은 은행 또는 공인 금융기관이 직접 발행 주체가 되고, 자사 특허 기술을 통해 토큰화·결제·정산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as-a-Service)’ 모델을 선보였다. 한국은행은 지난

3

한컴,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5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보상 재원 확보를 위해 1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변성준, 김연수 각자대표 체제에서 2022년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2023년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3개년 배당 정책 발표에 이은 주주 친화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