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보형' 김준현-문세윤, 338m '마카오 타워' 스카이워크 도전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2 10:37:1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먹보 형제’ 김준현-문세윤이 전 세계 MZ세대들의 랜드마크로 통하는 ‘마카오 타워’ 스카이워크에 도전해, ‘홍콩&마카오 탐방’의 대미를 장식한다.

 

▲ 12일 방송하는 '먹고 보는 형제들'에서 김준현-문세윤이 마카오 스카이워크 도전에 나선다. [사진=SBS PLUS]

 

12일(오늘) 밤 8시 30분 방송하는 SBS Plus ‘먹고 보는 형제들’(이하 ‘먹보형’) 10회에서는 ‘마카오문’ 문세윤의 리드 하에 마카오의 랜드마크인 ‘마카오 타워’에서 스카이워크에 도전한 ‘겁보 뚱’ 김준현의 멘털 가출 현장이 펼쳐진다.

 

이날 문세윤은 김준현을 데리고 ‘마카오 탐방’ 마지막 코스인 ‘마카오 타워’로 이동한다. 마카오 타워는 무려 338m 높이로 된 마카오 최고의 타워다. 특히 360도 ‘뷰멍’까지 가능해 전 세계 MZ세대들의 ‘뷰 맛집’, ‘사진 맛집’으로 통하는 특별한 스폿이다. 이에 문세윤은 “화려한 마카오 도시의 건물들이 어떻게 보일지 기대된다”며 설레어 한다.

 

잠시 후, 233m 높이의 61층 전망대에 도착한 두 사람은 “마카오 대박!”이라며 절경에 감탄한다. 그러다 문세윤은 “한번 걸어봐야죠~”라며 김준현을 스카이워크의 세계로 이끄는데, 김준현은 “태어나서 처음 해보는 거다. 기절하면 어떡하지?”라며 걱정을 폭발시킨다. 스카이워크로 나간 문세윤은 “(절경이) 기가 막히다.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해야지?”라며 김준현을 부른다. 김준현은 고민하더니, “줄이 너무 가느다란 건 아닌가?”라고 호소한다.

 

우여곡절 끝, 스카이워크 포토존에 도착한 김준현은 타워 가이드가 난간에 앉아보라고 권하자, “긍까(?) 괜찮습니다!”라며 냅다 한국어로 거절한다. 결국 홀로 포토존 난간에 앉은 문세윤은 다시 “(사진) 같이 찍어, 이 X키야! 난 안 무서운 줄 알아?”라고 ‘버럭’해 웃음을 유발한다. 이후에도 비명이 난무한(?) 공중 산책이 계속되는데, 김준현은 “나 진짜 이상해. 지금 빨리 들어가야 될 것 같아”라고 ‘멘털 가출’ 상황을 알린다. 과연 김준현이 문세윤과 함께 스카이워크를 횡단해 ‘MZ 따라잡기’에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

 

아찔한 공중 산책 중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며 형제애가 폭발한 ‘먹보 형제’ 김준현-문세윤의 마카오 여행 마지막 날 이야기는 12일(오늘) 밤 8시 30분 방송하는 SBS Plus ‘먹고 보는 형제들’ 10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시아나 마일리지, 대한항공과 합병후에도 10년 사용 가능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대한항공은 30일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 10년간 별도 유지 원하는 시점에 대한항공 스카이패스 마일리지로의 전환 지원 우수회원 통합방안 마일리지 사용계획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발표했다. 대한항공은 6월 12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제출한 바 있으며, 공정위로부터 수정보완 요청을 받아 9

2

대한장애인양궁협회,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6개 메달 획득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대한장애인양궁협회는 지난 9월 광주에서 개최된 2025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 등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대회는 47개국 443명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대한민국 선수단은 종목별로 고른 입상을 통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특히 W1 여

3

전세 불안과 규제 강화 속 실거주 대안… ‘지젤 라이프그라피 서초’ 주목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이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규제지역 대출 강화 등으로 매수 여건이 까다로워진 반면,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등 보증금 리스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