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인플레이션 우려에 하락 마감…다우 1.36%↓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5-12 08:53:19
  • -
  • +
  • 인쇄
세계 경제 지표 개선에 인플레이션 가속화 가능성
연준 “인플레이션 길어지지 않을 것, 인내심 갖고 집중"
▲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연합뉴스]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에 하락세로 마감한 가운데, 다우지수는 지난 2월 26일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3.66포인트(1.36%) 하락한 3만 4269.16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6.33포인트(0.87%) 내린 4152.1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43포인트(0.09%) 떨어진 1만 3389.43으로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유럽과 중국 등 전 세계 경제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는 소식에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 같은 인플레이션 상승이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조기 긴축을 앞당길 수 있다고 염려했다. 특히 다음날 발표되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공포가 재부상할 것을 걱정했다.

연준 위원들은 이날 일제히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일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고용률이 높아지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오르겠지만, 인플레이션이 길어지진 않을 것”이라며 "인내심을 갖고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이면 행동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은행 총재도 “아직은 통화정책 지원을 철회할 이유가 없다”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연준은 목표에 미달했던 기간을 만회하기 위해 2% 목표치를 넘는 인플레이션을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주요 기술 기업들은 큰 변동성을 보였다.

애플 주가는 장중 3% 이상 급락했다가 오후 들어 낙폭을 줄여 0.74% 내리며 마감했다. 아마존 주가는 장중 2%가량 하락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 전환하며 1.05% 올랐다. 테슬라 주가는 장중 5% 이상 급락했으나 장후반에 낙폭을 만회하며 1.88% 하락 마감했다.

노바백스는 미국과 유럽 당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긴급 승인 신청을 3분기로 늦추겠다고 밝히며 주가가 13.91% 하락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카드, 해킹으로 고객 297만명 정보 유출…"전액 보상·인적 쇄신"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롯데카드가 외부 해킹 공격으로 전체 회원 약 960만명 중 297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18일 공식 발표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과 유관기관에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사임을 포함한 인적 쇄신과 보안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유출된 정보는 온라인 결제 과정에서 생성·수집된

2

한국마사회, 과천공연예술축제 연계 ‘도심승마축제’ 개최…시민 대상 무료 체험 제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는 9월 19~20일 과천시민공원에서 열리는 ‘과천공연예술축제’와 연계해 시민들이 무료로 승마를 체험할 수 있는 ‘도심승마축제’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이번 도심승마축제는 도심에서도 말과 가까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민들의 승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축제는 19일 오후 2시부터 6시

3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글로벌 정식 출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넷마블은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를 글로벌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지난 16일부터 글로벌 사전 다운로드를 시작했으며, 일본·대만·태국·홍콩·마카오 앱스토어에서 인기 1위를 기록하며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용자들은 앱마켓(AOS, iOS)을 통해 모바일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PC 버전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