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차훈 회장 구속영장 재기각 불구 CEO 사법리스크 불거져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새마을금고의 경영혁신과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한 경영혁신위원회가 오는 24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 이사회 의결로 구성되는 경영혁신위원회는 행정안전부·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예금보험공사 등 추천위원 8명과 중앙회 이사 4명이 참여한다.
![]() |
▲새마을금고의 경영혁신과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한 경영혁신위원회가 오는 24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서울 삼성동 새마을금고중앙회관 전경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
모두 12명으로 구성된 경영혁신위원회는 김성렬 행정자치부 전 차관을 위원장으로 오는 24일 첫 회의에서 내부통제 강화, 부동산 PF연체율 급등에 따른 부실채권 관리문제 등을 논의한다.
특히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이 개인 비리 혐의로 검찰에서 수사를 받고 있어 CEO에 대한 사법 리스크 문제로 경영혁신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이 강화될 수 있을 전망이다.
박 회장은 사모펀드 출자·PF대출 과정에서 금품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데 검찰에서는 구속영장을 재청구했으나 17일 영장실질심사 결과 또다시 기각 결정이 내려졌다. 당장 박 회장은 불구속으로 수사를 받게 되지만 리더십의 문제로 업무수행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신설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원회가 우려되는 CEO 공백 사태를 대비해 실질적인 경영혁신을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박 회장의 구속영장이 지난 8일과 17일 두 번 기각됐다”면서도 “박 회장의 거취문제와 관련해서 경영혁신위원회의 행보가 빨라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새마을금고중앙회 안팎에서는 경영혁신위원회가 새마을금고중앙회 수뇌부의 사법 리스크와 함께 당면 과제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 역시 “경영혁신위의 활동 기간은 3개월로 한정적이나 1차로 새마을금고의 안정이 우선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기간이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며 “일단 자문위원회로서 역할과 함께 대국민에 대한 신뢰회복 및 경영 안정성 확보가 최우선”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경영혁신위원회는 부동산 PF대출 문제로 어려운 일부 금고의 부실 대출로 발생한 뱅크런 사태 이후 박차훈 회장의 사법 리스크로 경영 위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혁신을 추진한다. 반면 일각에서는 중앙회 주도의 자문역할을 수행하는 경영혁신위원회가 문제의 발단이 됐던 개별금고의 경영까지 통제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며 회의론을 보이기도 한다.
선출직인 중앙회장이 지역 단위 개별 금고의 경영에 과도하게 개입하기 힘든 조합경영의 특성이 국민신뢰 회복과 경영혁신에 큰 장애물이라는 지적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조합경영의 폐단과 부동산 PF부실화의 여파로 새마을금고가 직격탄을 맞았다”며 “중앙회가 개별 금고들과 보완적 관계일뿐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행정안전부 산하 기관에서 금융감독을 강화·일원화할 필요도 있지만 복잡한 볍령의 정비와 입법문제의 어려움 때문에 당장 실현이 불가능하다”며 “3개월 한시적으로 가동되긴 하나 경영혁신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에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