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2년 이병철 회장···다올금융 건전성관리 사활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2-28 18:56:47
  • -
  • +
  • 인쇄
유동성 확보 위해 계열사 매각 등 총력
다올인베스트먼트 우리금융지주에 매각 2125억원 확보
우발부채 부동산 PF, 중후순위채 많아 철저한 건전성 관리 필요
▲ 사진=다올금융그룹 제공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이병철 다올금융 회장이 유동성 위기에 빠진 그룹의 위기 탈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계열사 매각 등 구조조정에 나선 가운데 다올인베스트먼트를 우리금융지주에 매각하면서 유동성 확보에 숨통이 틔였다. 고금리와 경기둔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 회장이 다올금융을 정상 궤도에 올려 놓을 지 주목되고 있다.

 

다올금융그룹(회장 이병철)은 국내 벤처캐피탈(VC) 1세대 계열사 다올인베스먼트 매각을 위해 우리금융지주와 주식양수도계약(SPA)을 전날 체결했다. 매각 대상은 다올투자증권이 보유한 다올인베스트먼트 지분 52%다.


이번 거래가 종결되면 다올투자증권은 2125억원 규모의 유동성자금을 확보해 재무적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또, 다올금융은 앞서 메이슨캐피탈, 리드캐피탈매니지먼트와 다올신용정보 지분 100% 매각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매각금액은 130억원이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은 다올투자증권이 다올인베스트먼트의 지분 매각으로 우발부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한신평은 전날 보고서에서 "지난해 9월 말 기준 다올투자증권의 자기자본에서 우발부채의 비중은 93% 수준으로 동종업계 다른 회사의 평균치보다 높은 편이었으나 지분 매각 이후에는 자본 규모가 증가하면서 약 80% 수준으로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우발부채 대부분이 부동산 개발 익스포저로 구성됐고 전체 익스포저 안에서 중·후순위의 비중이 80%에 달해 부동산금융 시장이 침체할 시 손실위험 노출도가 높다"며 "향후 부정적인 업황 등으로 건전성 저하와 자본 적정성 지표 훼손이 지속되면 신용도 강등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이병철 다올금융그룹 회장 [사진=다올금융그룹 제공]

 

이병철 회장은 올해로 취임 2년을 맞이하게 된다. 2018년엔 권성문 KTB투자증권 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 대부분을 사들이며 최대주주에 올라 오너경영인이 됐고 2021년 KTB금융그룹 회장에 취임했다.

 

이 회장은 업계에서 이름 난 부동산 전문가다. 2001년 부동산 투자회사인 JW에셋을 세우고 국내 1호 리츠를 설립했으며 2004년엔 국내 최초 민간 부동산신탁회사인 다올부동산신탁을 세웠다. 또 2006년엔 국내 최초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 다올자산운용(현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을 설립하고 국내 1호 부동산펀드를 출시했다. 그는 하나금융지주에 다올부동산신탁 지분 58%를 매각해, 하나다올부동산신탁 대표이사 사장 겸 하나금융지주 부동산그룹장(2010년)도 맡았었다. 

 

이병철 회장의 취임이후 다올금융그룹은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2021년 KTB투자증권 경영에 본격 참여하면서 KTB네트워크 IPO를 빠르게 추진해 프리IPO 과정에서 KTB투자증권이 보유하고 있던 KTB네트워크 지분 35%(2800만주)를 매각해 1540억원을 마련했다.  


그해 유진에스비홀딩스 지분 60.19%를 2003억원에 사들이면서 유진저축은행을 계열사로 편입했다. 이에따라 증권, 자산운용, 벤처캐피탈(VC), 프라이빗에쿼티(PE), 신용정보까지 6가지로 금융사업을 확장했다. 2022년에는 다올투자증권으로 사명 변경을 마치며 마침내 다올 그룹으로의 새출발을 공식화했다.

 

지난해 다올투자증권은 부동산PF발 유동성 위기가 본격화 돼 예상치 못한 위기에 직면했다. 이 회장은 계열사 매각을 포함해 조직축소 등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정상화에 박차를 가했다.

 

불투명한 금융시장 환경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 회장이 철저한 리스크관리와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다올금융의 정상화를 이루어 낼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