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 인종차별 피해’ 침묵 토트넘에 현지 인권 단체까지 비판

이하늘 기자 / 기사승인 : 2024-06-20 10:47:26
  • -
  • +
  • 인쇄

[메가경제=이하늘 기자] 손흥민이 당한 인종차별 피해에 대해 토트넘 구단이 침묵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의 유명 인권 단체가 입을 열었다.

 

최근 손흥민의 소속팀 토트넘 동료 로드리고 벤탄쿠르가 손흥민을 향해 인종차별성 발언을 서슴치 않아 논란이 불거졌다.

 

▲ 로드리고 벤탄쿠르 [로이터=연합]

 

벤탄쿠르는 코파 아메리카 출전을 앞둔 채 고향에서 휴식을 취하던 중, 우루과이 방송 프로그램 ‘포를라 가미세타’에 출연했고, 해당 방송의 진행자는 벤탄쿠르에게 ‘손흥민의 유니폼을 구해달라’는 요청을 했다.

 

이에 벤탄쿠르는 “손흥민 사촌 유니폼을 가져다줘도 모를 거다. 손흥민이나 그의 사촌이나 똑같이 생겼다”며 동양인은 모두 똑같이 생겼다는 생각이 배어있는 전형적인 인종차별성 발언을 입에 담았다.

해당 발언은 순식간에 전 세계에 퍼졌고, 수습이 불가능할 정도로 일이 커지자 벤탄쿠르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쏘니, 내 형제여! 이번에 일어난 일에 대해 사과하고 싶다. 정말 나쁜 농담이었다! 나는 너를 정말 좋아하고, 너를 존중하지 않으려고 한다거나 너를 비롯한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려는 게 아니라는 걸 알 거다! 사랑해 쏘니!”라고 사과했다.

 

대중의 반응은 싸늘했다. 벤탄쿠르는 24시간이 지나면 계정에서 사라지는 인스타그램 스토리 기능을 활용해 사과문을 게재했고, 심지어 사과문 내에 손흥민의 별명인 쏘니는 Sonny가 아닌 일본 기업 이름인 Sony로 적기도 해 진정성이 결여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킥 잇 아웃’ SNS 캡처

 

영국의 유명 인권단체 ‘킥 잇 아웃’은 20일(한국 시간) 공식 SNS 계정을 통해 “’킥 잇 아웃’은 토트넘 팀 동료인 손흥민을 향한 로드리고 벤탄쿠르의 발언에 대한 신고를 다수 접수했다. 이러한 신고는 이미 구단과 관계 당국에 전달됐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킥 잇 아웃’은 “우리는 벤탄쿠르가 자신의 발언이 잘못 되었음을 인정했지만, 이는 동아시아 및 더 넓은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문제라는 점을 강조한다. 다가오는 시즌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보거나 들을 경우 제보해달라”고 말했다.

 

‘킥 잇 아웃(Kick it out)’은 축구계에서 인종차별을 없애기 위해 1997년 설립된 영국의 인권단체다.


한편 손흥민은 벤탄쿠르의 사과에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토트넘 구단 역시 벤탄쿠르의 발언에 침묵하고 있는 상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자분쟁 해결 동대구역 역세권 ‘동대구역 엘크루 더센트럴’ 선착순 할인 분양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대구 교통의 중심에 자리한 ‘동대구역 엘크루 더센트럴’이 회사보유분을 대상으로 선착순 할인 분양에 나섰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최근 건설업계 전반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아파트 하자 분쟁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 체계적인 사후관리 방안을 마련해 수요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동대구역 엘크루 더센트럴은 동대구역 바로 앞 초역세권이라는

2

방재시험연구원, ‘중대재해처벌법 특별교육과정’ 개설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은 오는 10월22일부터 23일까지 양일간, 서울 여의도 본사 대강당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시대, 기업의 생존전략 실무’ 특별교육과정을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2022년 1월27일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 경영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나, 법에 대한 이해 부족, 모호한 조항 해석, 형사처벌 리스크

3

하나은행, 임영웅 담은 'HERO 체크카드'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8일, 하나카드와 함께 고객에게 다양한 적립 혜택과 특별한 기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가수 임영웅의 사진을 담은 'HERO 체크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HERO 체크카드'는 고객이 일상에서 카드 사용을 통해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분야별로 다양한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멜론·유튜브·넷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