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홉 전역, BTS 완전체 기대감 고조...컴백 성공 위한 과제는?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10-21 10:42:25
  • -
  • +
  • 인쇄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지난 17일,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제이홉이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하며 팬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맏형 진에 이어 두 번째로 군 복무를 마친 제이홉의 전역은 BTS 완전체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높였다. 반면 과연 군 입대전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 지를 우려하는 시각도 공존한다. 


강원도 원주시 36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전역 신고를 마친 제이홉은 팬들과 취재진의 환호 속에 부대 밖으로 나왔다. 동시에 서울 용산구 소재 하이브 본사 앞에도 국내외 팬 수백명이 모여들어 제이홉을 향한 뜨거운 사랑을 보여줬다.

 

제이홉의 전역으로 BTS 멤버들의 군 복무 만료가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팬들은 오랫동안 기다려온 BTS 완전체 활동을 기대하고 있다. BTS의 완전체 활동은 단순히 팬들의 바람을 넘어, 하이브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 방탄소년단(BTS) 멤버 제이홉이 17일 전역했다. 서울 용산 하이브 본사 앞은 이를 축하하기 위한 국내외 팬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사진=신승민 기자]

◆ BTS 완전체 컴백, 글로벌 음악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BTS의 완전체 컴백이 전 세계 음악 시장에 또 다시 영향을 미칠 지는 미지수이다. 국내 음악계는 K-pop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한국 음악의 입지를 강화해줄 것을 기대한다.

그러나 잠재적인 신규 팬 유입과 음반, 음원 판매량 증가 등을 통해 하이브의 매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지는 뚜껑을 열아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BTS의 성공적인 컴백을 위한 과제를 무엇일까.

군 입대 전의 아우라를 뛰어넘는 퍼포먼스=긴 공백기를 거친 만큼, 팬들의 기대치는 매우 높아졌다. 이전의 퍼포먼스를 뛰어넘는 새로운 무대와 음악으로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

변화하는 음악 시장에 대한 적응=글로벌 pop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트렌드를 반영한 음악과 콘셉트로 팬들의 변화하는 취향을 사로잡아야 한다.

멤버들의 개인 활동과의 조화=멤버들의 개인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팀 활동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멤버들의 개인 역량을 살리면서도 팀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활동 계획이 필요하다.

지속 가능한 성장=단발적인 성공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제이홉의 전역으로 BTS 완전체 컴백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는 것은 사실이다. BTS는 단순한 아이돌 그룹을 넘어, 전 세계적인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했다. 성공적인 컴백을 통해 K-pop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하이브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