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만 굿즈 사려다...” 슬램덩크 가품 쇼핑몰 ‘주의보’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03-22 10:52:00
  • -
  • +
  • 인쇄
‘슬램덩크’ 흥행에 가품 굿즈 쇼핑몰 관련 피해 급증
구매 후 가품 인지하고 반품 요구해도 판매자 무응답
소비자원 “일본·대만·홍콩 유관기관과 공동 대응 모색”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A씨는 지난달 19일 한 쇼핑몰에 접속해 슬램덩크 스웨터를 구매했다. 이후 해당 쇼핑몰이 정품 판매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구매 취소를 요청했으나 답을 전혀 듣지 못했다.


최근 흥행한 극장용 애니메이션 ‘슬램덩크’와 관련한 굿즈를 정식 라이선스 없이 제작해 판매하는 해외쇼핑몰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다.
 

▲ 해외 슬램덩크 가품 판매 쇼핑몰의 메인 화면 [웹사이트 캡처]

 

지난달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는 ‘inouetake88.com’이라는 도메인을 가진 인터넷 쇼핑몰의 취소·반품 관련 불만이 4건 접수됐다. 슬램덩크 원작자 이노우에 다케히코의 공식 SNS 계정 이름을 따서 만든 도메인으로 추정된다.

소비자가 해당 쇼핑몰에서 제품 구매 후 라이선스가 없는 가품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취소·반품을 요구했으나 판매자가 응답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또 다른 소비자 B씨는 지난 1월 29일 SNS로 이 쇼핑몰에 접속해 슬램덩크 티셔츠를 구매했다. 이후 한 달이 지나도 상품이 배송되지 않고 배송 관련 안내도 받지 못해 환급을 요청했으나 판매자가 답변하지 않고 있다.
 

▲ 해외 슬램덩크 가품 판매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캐릭터 티셔츠 [웹사이트 캡처]

 

소비자원은 판매자에게 사실 확인과 불만 처리를 요청하는 이메일을 발송하는 등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특히 판매자 정보가 명확하지 않아 피해 해결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었다.

A씨의 사례에서 쇼핑몰에 표시된 판매자 소재지는 알제리였다. 하지만 구매대금이 결제된 국가는 프랑스였고 상품의 발송지는 중국으로 확인됐다. A씨는 해당 상품을 운송장에 기재된 주소지로 반품했으나 다시 반송돼 돌아왔다.

이 같은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품 구매 전 해당 업체의 정식 라이선스 유무와 신뢰할 수 있는 판매자인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공식 판매사이트 외의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유명 굿즈 상품은 정품이 아닐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신용(체크) 카드로 결제한 경우 광고와 명백히 다른 상품이 배송되거나 장기간 배송을 받지 못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면 증빙자료를 갖춰 결제한 신용카드사에 ‘차지백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차지백 서비스는 구입일로부터 120일(비자·마스터·아멕스) 또는 180일(유니온 페이) 이내에 신용카드사에 승인된 거래를 취소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유사한 피해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대만·홍콩의 유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겠다”며 “피해사례가 확인되면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삼성에피스홀딩스 공식 출범…“바이오시밀러 넘어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바이오 투자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지난 1일 공식 출범하며 본격적인 경영에 돌입했다.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두고, 별도의 신설 자회사를 설립해 차세대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상

2

동아ST, 포용의 일터 ‘행복세차소’ 오픈…장애인 자립 지원 나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동아에스티가 장애인 자립을 지원하고 포용적 일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새로운 사내 복지공간을 마련했다.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3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 내에 ‘행복세차소’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설은 사회적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고, 임직원 복지 향상에도 기여하기 위해 조성됐다. 행복세차소에는 총

3

일동제약그룹, ‘바이오 유럽’서 GLP-1RA 비만 신약 등 글로벌 파트너링 추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일동제약그룹이 유럽 최대 바이오 비즈니스 교류의 장인 ‘2025 바이오 유럽(BIO-Europe)’에 참가해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을 선보이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나선다.일동제약그룹은 3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5일까지 열리는 바이오 유럽에서 일동제약, 유노비아, 아이디언스 등 연구개발(R&D) 계열사가 참여해 글로벌 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