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1억보 걷기로 마포 노을공원에 나무 500그루 기부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6-21 10:53:42
  • -
  • +
  • 인쇄
700여명 참여 2억 2709만보 달성, 3만6156kg 탄소 배출량 저감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유진투자증권(대표이사 유창수, 고경모)이 전 임직원이 참여하는 1억보 걷기로 노을공원에 500그루 나무를 기부한다. 한달 반 동안 1억보를 걸으면 노을공원에 나무 500그루를 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유진투자증권 임직원들이 '1억보 걷기' 챌린지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500그루의 나무를 기부한다고 21일 밝혔다. 

 

▲유진투자증권 임직원들이 ‘1억보 걷고 기부하기’ 챌린지에 성공해 노을공원에서 기부한 500그루의 나무를 기부했다. 지난 17일 기부한 나무를 임직원들이 직접 심고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이번 챌린지는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 보호와 임직원들의 건강 증진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담아 지난 4월 17일부터 5월 28일까지 진행됐다. 

챌린지 결과, 700여명의 유진투자증권과 금융계열사 임직원들이 참여하여 목표인 1억보를 크게 초과하는 총 2억 2709만 걸음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리로 환산하면 약 15만 7207km로, 이를 통해 약 3만 6156kg의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했다.

챌린지 성공에 따라 유진투자증권 임직원들은 지난 17일부터 오는 11월까지 총 500그루의 나무를 순차적으로 기부할 예정이다.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노을공원에 유진투자증권 임직원이 찾아가 직접 나무를 심는 방식으로 기부는 진행된다.

유진투자증권은 2011년부터 ‘사회공헌’을 핵심 경영방침으로 정하고 유진의 숲 조성, 매칭펀드 후원, 임직원 1인 2봉사활동 제도 운영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올해부터는 임직원들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봉사활동의 기쁨을 느끼게 하기 위해 ‘자율선택형 봉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새로운 사회공헌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봉사활동 참여를 희망하는 유진투자증권 임직원들은 ▲유진의 숲 가꾸기 ▲홈리스 배식 ▲지역아동센터 배식 ▲장애직원 미술활동 지원 중 한 가지를 선택해 참여할 수 있다.

유진투자증권 관계자는 “탄소 절감과 임직원 건강증진이라는 취지를 담아 지난 한달 반 동안 걷기 챌린지 캠페인을 진행했는데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였고, 그 결과 나무 기부라는 의미 있는 결과까지 이어지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통해 ESG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시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앞서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조치에 이은 추가적인 고객 보호 대책으로, 통신서비스 전반의 신뢰 회

2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3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