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에 통했다"···​ 'KB금쪽같은 자녀보험' 3월 판매 2배 급증​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4-06 11:03:34
  • -
  • +
  • 인쇄
저렴한 보험료와 탄탄한 보장으로 MZ세대 소비트렌드에 주효​​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KB손해보험이 가입연령을 35세까지 확대해 3월 개정 출시한 'KB금쪽같은 자녀보험 Plus'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가입자 중 MZ세대가 절반으로 저렴한 보험료와 탄탄한 보장으로 MZ세대 소비트렌드에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KB손해보험(대표이사 사장 김기환)이 ‘KB금쪽같은 자녀보험 Plus’의 3월 한달 간 신규 판매가 지난해 월 평균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자녀보험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6일 밝혔다.

 

▲ KB손해보험이 가입연령을 35세까지 확대해 3월 개정 출시한 ‘KB금쪽같은 자녀보험 Plus’의 3월 한달 간 신규 판매가 지난해 월 평균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자녀보험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사진=KB손해보험 제공]

KB손해보험은 ‘KB금쪽같은 자녀보험 Plus’가 3월 한달 간 약 2만 9000 건 가량 판매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자녀보험 월 평균 판매량이 약 1만 4000 건인 것을 감안하면 2배 이상 늘어난 수치이다.

자녀보험 시장에서 KB손해보험 상품이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는 기존 30세였던 가입연령을 35세까지 늘리고, 예정이율 인상과 사업비 절감을 통한 보험료 인하 및 납입면제 혜택 확대 등 업계 최고의 상품 경쟁력을 갖춘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KB손해보험이 3월 판매한 ‘KB금쪽같은 자녀보험 Plus’ 가입자 연령을 자체 분석한 결과, MZ세대가 전체 가입자의 절반을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소위 ‘어른이’라고 일컫는 20세부터 30세 가입자가 약 34%로 나타났고, 가입연령을 확대한 31세부터 35세 가입자가 약 16%를 차지했다. 보험 가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20·30세대에게 저렴한 보험료와 납입면제 혜택 확대 등 탄탄한 보장까지 더해진 이번 자녀보험 신상품이 가성비와 합리적인 상품을 선호하는 MZ세대의 소비트렌드와 잘 맞았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KB손해보험은 지난해부터 ‘국민 육아 멘토’ 오은영 박사를 모델로 내세워 자녀보험의 인지도 상승과 매출에 큰 성과를 얻고 있다. 지난해 오은영 아카데미와 제휴해 가입 고객에게 자녀심리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정신질환치료비’, ‘신경성 식욕부진·폭식증 진단비’ 등 차별화된 보장의 배타적 사용권도 연이어 획득했다. 또한 최근 유튜브에서 대세 캐릭터로 급부상해 인기를 끌고 있는 ‘서준맘’이 디지털 광고에 출연해 MZ세대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KB손해보험 관계자는 “경제 활동을 시작하는 20·30세대들은 본격적으로 보험 가입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며 “이들에게 35세까지 가입연령을 확대한 ‘KB금쪽같은 자녀보험 Plus’가 저렴한 보험료로 풍부한 보장을 받을 수 있고, 납입면제 등의 다양한 혜택까지 갖춰져 자녀보험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