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투스 신작 '낚시의 신: 크루', 글로벌 출격 준비 완료

이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9 13:11:58
  • -
  • +
  • 인쇄

[메가경제=이준 기자] 컴투스(대표 이주환) 3D 모바일 레포츠 신작 '낚시의 신: 크루'가 오는 7월 20일 글로벌 서비스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작의 성공 가도를 이어갈지 관심을 모은다.

 

▲ 컴투스 신작 '낚시의 신: 크루'가 IP 파워와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다. [사진=컴투스]

 

'낚시의 신: 크루'의 글로벌 시장 성공 가능성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전작인 '낚시의 신' IP 파워에 있다. 실제로 '낚시의 신'은 지금까지도 수많은 글로벌 팬들로부터 '최고의 낚시 게임'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장수 IP로, 2014년 출시 당시 40여 일 만에 1000만 다운로드 기록, 1년 만에 3000만 누적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해당 다운로드 수 중 약 9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했다.

 

지역별 인기도 매우 고른 편이다. '낚시의 신'은 지금까지 91개 지역 앱 마켓 스포츠 게임 매출 순위 1위, 18개 지역 구글플레이스토어 매출 순위 TOP 10를 기록한 바 있다.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권은 물론 독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와 미국 등 다양한 권역에서 골고루 100만이 넘는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으며, 팬들로부터도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으며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해 있는 IP라 할 수 있다.

 

이번 '낚시의 신: 크루' 또한 12개 언어를 지원하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하나우마 베이, 필리핀해, 네그로강, 아마존 삼각주 등 세계 각지의 유저들에게 친근한 낚시터를 다수 제공한다.

 

'낚시의 신: 크루'는 전작이 자랑하는 낚시의 손맛은 고스란히 살리면서도 그 이상의 재미를 함께 선사하고자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했다. 그중에서도 식당 운영과 시장, 원정 등 낚시에 익숙지 않은 유저를 겨냥한 콘텐츠는 해외 유저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식당에선 획득한 물고기를 이용해 요리를 만들고 손님에게 대접해 장비나 크루 카드 같은 다양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시장은 수조에 남는 물고기를 팔고 스킬 코인을 획득할 수 있는 곳으로 흥정을 통해 물고기를 더 비싸게 팔 수도 있다. 

 

이밖에 실사 위주의 캐릭터 디자인이나, 54종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크루 시스템 또한 글로벌 유저에게 보다 강하게 게임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확장된 세계관과 낚시 그 이상의 다채로운 재미를 자랑하는 ‘낚시의 신: 크루’는 오는 7월 20일 한국과 일본, 북미, 유럽 등 전 세계 170여 개국에서 글로벌 공략에 나선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스콤, 메리츠증권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코스콤이 토큰증권(Security Token Offering, STO) 플랫폼 사업 추진을 위해 메리츠증권과 손을 맞잡았다. 정부의 STO·스테이블코인 제도화 흐름에 발맞춰 공동 플랫폼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코스콤은 2일 코스콤 본사에서 메리츠증권과 토큰증권 플랫폼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2

IBK기업銀, 추석 귀성길 이동점포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추석 명절을 맞아 영동고속도로 덕평휴게소(인천방향)에서 이동점포를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이동점포는 추석 귀성객에게 신권 교환 등의 금융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운영 시간은 낮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추석 연휴 기간 신권을 준비하지 못한 고객께 편의를 제공하겠다”며 “추석 연휴 가

3

한샘, 마포 상수동 효도밥상서 어르신과 '함께한끼'
[메가경제=정호 기자] 종합 홈 인테리어 전문기업 한샘이 노인의 날을 기념해 마포구 상수동 효도밥상의 주방 공간을 개선하고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해 식사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함께하는 ‘함께한끼’ 행사를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효도밥상은 마포구 내 식사지원이 필요한 75세 이상 독거 어르신들에게 평일 점심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공간이다. 방문 여부 확인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