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9,200만톤 쏟아지는 폐의류… 섬유업계, ‘자원 재순환’ 신소재 경쟁 본격화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13:59:16
  • -
  • +
  • 인쇄
'순환형 섬유경제' 모델 앞다퉈 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패스트패션 확산으로 매년 전 세계에서 9,200만톤의 섬유 폐기물이 발생하지만, 재활용률은 12%, 의류로의 재생률은 1%에도 못 미친다. 환경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글로벌 섬유·패션업계가 폐의류를 새로운 원자재로 활용하는 ‘순환형 섬유경제’ 모델을 앞다퉈 제시하고 있다.


독일 친환경 기능성 소재 기업 심파텍스(Sympatex)는 ‘Fiber2Fiber’ 전략을 통해 폐의류에서 폴리에스터를 회수, 고품질 기능성 원단으로 재탄생시키는 기술을 공개했다. 최근 ‘뮌헨 퍼포먼스 데이 2025’에서 선보인 신소재 KYOTO F2F SPRING AS는 화학적 재활용 원사로 만든 3-Layer 라미네이트 소재로 주목받았다. 심파텍스는 2030년까지 전 제품을 100% 재활용 가능한 구조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 심파텍스가 폐의류를 활용해 고기능성 원단으로 재탄생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국내 기업 효성티앤씨도 순환형 섬유경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효성티앤씨는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와 협력해 올 4분기부터 구미공장에서 버려진 의류를 재활용한 ‘리젠 T2T(Textile to Textile)’ 생산을 시작한다. 이는 기존 폐페트병 리사이클을 넘어 의류 자체를 다시 의류로 되살리는 방식으로, 글로벌 친환경 섬유 시장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꼽힌다.

한편, 코오롱FnC의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RE;CODE)’는 산업 폐소재의 순환 가능성을 탐구하는 전시 RE; COLLECTIVE: MATERIALS를 개최하며 패션업계 내 자원순환 담론을 확산시켰다. 2012년 출범한 래;코드는 소각되는 이월·재고 의류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글로벌 리사이클 섬유 시장은 현재 23조원 규모로, 연평균 12.5% 성장해 2030년에는 약 7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EU는 폐의류 매립·소각을 금지하는 ‘에코디자인 규정(ESPR)’ 입법화를 추진 중이며, 프랑스 역시 ‘Agec Law’를 통해 위반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폐의류는 더 이상 환경오염의 상징이 아니라 새로운 원자재 공급원”이라며 “글로벌 순환경제 전환 속에서 한국 기업도 적극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CJ올리브영, 피부 고민별 기능성 헤어·바디케어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이 10월 한 달간 전국 매장과 온라인몰에서 ‘한층 더 아름답게 올영에서 케어헤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올리브영은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얼굴 피부를 관리하듯 두피와 몸의 피부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스키니피케이션(Skinification)’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관련 상품군을 육성

2

SK매직, 3세대 ‘초소형 라이트 직수 정수기’ 사전예약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SK인텔릭스의 헬스 플랫폼 브랜드 SK매직이 오는 14일 공식 출시 예정인 ‘초소형 라이트 직수 정수기의 사전예약 판매를 1일부터 시작한다. 초소형 라이트 직수 정수기는 스테디셀러 ‘스스로 직수 정수기’의 3세대 모델로, 작고 슬림한 사이즈가 강점이다. 폭 164mm, 깊이 370mm, 높이 345mm의 컴팩트한 크기로, 기존 자사

3

한솥도시락, 크기·중량 모두 2.3배 늘린 ‘돈카츠’ 도시락 4종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솥도시락은 기존 반달돈까스 대비 크기·중량 모두 약 2.3배 늘린 ‘돈카츠’ 도시락 시리즈 4종을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한솥도시락은 그동안 꾸준히 국내산 돼지고기를 사용한 돈까스를 선보여 왔다. 이번에 출시된 ‘돈카츠’도 국내산 돈육을 사용했으며, 크기와 중량 모두 늘려 푸짐함을 강화하고, 바삭한 튀김옷으로 정통 돈카츠의 식감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