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계열사 '프렌즈게임즈-웨이투빗' 합병...메타버스·NFT 사업 강화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5-27 17:28:59
  • -
  • +
  • 인쇄

카카오게임즈(대표 남궁훈, 조계현)가 핵심 계열사인 프렌즈게임즈와 웨이투빗의 합병을 통해 메타버스·NFT 등을 활용한 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프렌즈게임즈와 웨이투빗은 각각 27일 이사회를 열어 합병을 최종 결의했다. 합병비율은 1(프렌즈게임즈) 대 5.527808(웨이투빗)이다. 양사는 7월 초 합병 절차를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합병 후 존속 법인은 프렌즈게임즈로 정욱 대표, 송계한 대표가 공동대표를 맡아 각 사의 근간이 되는 개발 및 사업은 지속 전개하고, 각각의 전문 역량들을 융합해 사업적 시너지를 극대화 한다. 

 

▲ 프렌즈게임즈 CI


프렌즈게임즈는 지난 2018년 출범한 캐주얼 게임 전문 개발사로 카카오프렌즈 IP를 기반으로 한 게임 '프렌즈타운'을 선보이고, 신작 '프로젝트킹(가칭)' 등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 게임을 개발 중이다. 지난 3월 정욱 대표이사의 취임으로 캐주얼 게임 산업을 넘어 메타버스, NFT 등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예고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이번 합병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NFT(대체불가토큰)' 기술을 활용해, 게임과 음원, 영상, 미술품 등 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가치를 유통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나아가 메타버스와의 접목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프렌즈게임즈는 지난 2018년 출범한 캐주얼 게임 전문 개발사로 카카오프렌즈 IP를 기반으로 한 게임 '프렌즈타운'을 출시했으며, 신작 '프로젝트킹(가칭)' 등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 게임을 개발 중이다. 지난 3월 정욱 대표 취임 이후 캐주얼 게임 산업을 넘어 메타버스, NFT 등 공격적으로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73억 원이며,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최근 3년간 적자 폭이 크게 줄고 있다.

최대주주는 카카오게임즈로 지분 82.4%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웨이투빗은 지난해 12월 카카오게임즈 계열사로 편입됐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BORA(보라)'를 운영 중이며, 실생활 밀착형 블록체인 프로젝트 및 메타버스와 NFT를 활용한 영화, 영상, 음원의 서비스 등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 글로벌 온라인게임 서비스 플랫폼 ‘플레이투빗’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게임 IP를 퍼블리싱 중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118억 원이며 영업손실은 8억 원이다. 카카오게임즈가 지분 45.84%를 보유하고 있으며, 송계한 대표(10.5%), 두나무앤파트너스(9.09%) 등이 주요 주주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함태호재단, 제32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시상식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재단법인 오뚜기함태호재단은 지난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제32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오뚜기함태호학술상 식품산업 진흥과 학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남대학교 전우진 교수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식품 내 파이토케미컬의 생체 효능 검정과 작용기전 규명 연구로 SCI급 국제논문 150여

2

아워홈, F&B 고객사 초청해 동반 성장 포럼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워홈은 지난 29일 더 플라자 서울에서 호텔·리조트·프랜차이즈 등 주요 F&B 고객사 20여 곳을 초청해 동반 성장 포럼 'F&B Alliance Program'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F&B 업계 전문가와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F&B 트렌드와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

3

코스맥스, 맞춤형 기능성 뷰티 시대 연다…비건·생합성 등 PDRN 생산 경로 다각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스맥스가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원료인 PDRN 합성 경로 다각화에 성공했다. 코스맥스는 서울시립대학교 최용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합성 플랫폼 CFSS(Cell Free Synthetic System)를 활용한 비건 PDRN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신규 개발한 비건 PDRN은 연어 PDRN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