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 유럽 희귀약 추가 지정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3-10 17:48:40
  • -
  • +
  • 인쇄
원발 담즙성 담관염 치료 희귀의약품

한미약품은 유럽 의약품청(EMA)이 자사 삼중 작용 바이오신약 LAPSTriple Agonist(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를 희귀의약품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혁신 신약 중 19번째 희귀의약품 지정이자 해당 약품으로는 다섯 번째 지정이다.
 

▲ [한미약품 CI]

 

최근 EMA는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를 원발 담즙성 담관염(PBC)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추가 지정했다.

이로써 이 약품은 미국 FDA로부터 세 건, EMA로부터 두 건 등 총 다섯 건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국내 제약사가 개발 신약 중 가장 많은 희귀의약품 지정 기록이다.

이 약품은 FDA‧EMA로부터 각각 원발 담즙성 담관염과 원발 경화성 담관염 적응증으로 희귀약 지정을 받았다. FDA로부터는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를 위한 희귀약 지정도 받은 바 있다.

이번 추가 지정에 따라 한미약품은 6개 파이프라인에서 10가지 적응증으로 총 19건의 희귀의약품 지정 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많은 기록이다.

FDA‧EMA의 희귀의약품 지정은 희귀·난치성 질병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의 치료제 개발‧허가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유럽의 경우 허가신청 비용 감면과 동일계열 제품 중 처음으로 시판 허가 승인 시 10년간 독점권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자가면역성 질환인 원발 담즙성 담관염은 간 내 담도의 원인 미상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발생되는 만성 진행성 담즙 정체성 간질환이다. 담관이 점진적으로 파괴돼 담관 폐쇄와 간조직 손상을 유발한다. 심할 경우 간 이식이 필요한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는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및 GIP 수용체의 동시 활성화 작용을 하는 삼중작용제다.

한미약품은 이 약품이 다중 약리학적 효과를 바탕으로 과도한 간 담즙산 축적을 감소시키고 간 염증 및 섬유증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가 다양한 적응증에서 의미있는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고 있다”며 “희귀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이 약의 개발‧상용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승연 한화 회장, 수능 앞둔 임직원 자녀에 합격 기원 선물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그룹 임직원 자녀들에게 합격 기원 다가 세트와 격려 편지를 보냈다. 김 회장은 21년째 매년 같은 행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수만 명의 임직원 가족이 선물을 받아왔다. 5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서울 플라자호텔 베이커리 '블랑제리'에서 특별 주문 제

2

블록체인 금융기업 그루핀, 제도권 연계 ‘Stablecoin-as-a-Service’ 구조 발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기업 그루핀(Gurufin)이 규제 친화형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기술 페이퍼를 5일 공개했다. 그루핀은 은행 또는 공인 금융기관이 직접 발행 주체가 되고, 자사 특허 기술을 통해 토큰화·결제·정산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as-a-Service)’ 모델을 선보였다. 한국은행은 지난

3

한컴,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5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보상 재원 확보를 위해 1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변성준, 김연수 각자대표 체제에서 2022년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2023년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3개년 배당 정책 발표에 이은 주주 친화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