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파크트리플, 여행객 10명 중 1명...홀로 떠난다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3 09:16:05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동반자 없이 혼자 떠나는 솔로여행객들이 전체의 1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랑, 다낭 등 동남아 휴양지를 선호하는 가족여행객들과 달리 솔로여행객은 도쿄, 타이이, 방콕 등 역동적인 대도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인터파크트리플이 운영하는 초개인화 여행플랫폼 ‘트리플’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24일까지 트리플에 여행일정을 등록하면서 동반자 항목을 입력한 이용자 가운데 ‘혼자’라고 답한 이용자수의 비중은 9.1%를 기록했다. 

 

▲ <사진=인터파크트리플>

 

트리플 이용자 10명 중 1명 가량은 혼자서 떠나는 여행을 계획한 것이다. 

 

가장 많은 동반자 유형은 ‘친구’로 전체의 27.4%를 차지했다. 이어 ‘연인’(19.3%), ‘배우자’(16.2%), ‘부모님’(14.7%), ‘아이’(13.3%) 순이었다. 

 

나홀로 여행객이 가장 많이 찾는 여행지는 도쿄로 전체의 12.6%를 차지했다. 이어 후쿠오카(9.7%), 오사카(9.5%), 타이페이(8.3%), 방콕(8.2%) 순이었다. 

 

나홀로 여행객의 선호 여행지 톱5 안에 휴양지 느낌이 강한 곳은 하나도 없었다. 베트남 다낭의 경우 부모님이나 아이와의 여행에서는 각각 3위, 배우자와의 여행에서는 4위를 기록했지만 혼자가는 여행에서는 17위에 머물렀다. 배우자나 아이와의 여행에서 2위를, 부모님과의 여행에서는 5위를 차지한 베트남 나트랑 역시 혼자가는 여행에서는 23위에 그쳤다. 

 

반면 해외 대도시 성향이 두드러졌다. 영국, 프랑스의 수도인 런던, 파리는 혼자 많이 가는 해외여행지에서 각각 6위, 9위였다. 반면 부모님과 가는 여행에서는 선호도가 각각 24위, 17위에 머물렀다.

 

이 같은 나홀로족의 여행 트렌드는 한적한 휴양지에서 편안한 휴식을 즐기기보다 대도시의 역동적인 분위기를 만끽하려는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숙박보다는 현지 경비나 항공권에 더 많은 지출을 하려는 경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연정 인터파크트리플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트리플의 ‘배낭톡’ 기능을 이용하면 혼자 여행을 갔더라도 현재 같은 도시에 머무르는 다른 이용자들과 자유롭게 소통하고 실시간 정보도 얻고 모임도 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며 “특정한 미션을 주고 이를 모두 수행하면 리워드를 제공하는 등 여유롭지만 심심하지 않은, 자유롭지만 외롭지 않은 여행의 새로운 재미를 줄 수 있는 기능들도 꾸준히 도입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1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더 스타라이트’가 정식 서비스 시작 후 하루 만에 국내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게임 1위를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8일 오전 11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더 스타라이트’는 19일 오후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순위 정상, 애플 앱스토어에서는 출시와 동시에 인기 게임 순위 3위에 오르며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2

하나은행, '지수플러스 정기예금'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대응해 원금은 보장하면서도 정기예금 이상의 높은 수익실현 기회를 제공하는 '지수플러스 정기예금'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지수플러스 정기예금(ELD, Equity Linked Deposit)은 주가지수연동 예금으로 상품의 수익률이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된다. 중도해지를 하지 않

3

항공보안학회, 2025년도 제2차 항공보안포럼 개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항공보안학회는 19일 ‘항공안전보안 R&D 추진전략 및 항공기내보안 강화방안’을 주제로 2025년도 제2차 항공보안포럼을 일산 킨텍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했다. 포럼 시작에 앞서 학회는 종합미디어 산업분야 선도기업인 엠트리홀딩스와 항공보안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제1부 개회식은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 박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