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 미국 법인 해킹 논란에 책임론 '확산'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8 09:08:19
  • -
  • +
  • 인쇄
고객정보 유출 의혹 제기…회사 측 "임직원 정보만 해당"
美 로펌 피해자 모집 착수…'통보 지연·은폐 의혹'도 부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오토에버 미국법인에서 발생한 해킹 사건이 미국 현지에서 집단소송 움직임으로 번지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일부 보안 매체가 최대 270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위협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현대오토에버를 이끄는 김윤구 대표에 대한 책임론도 점차 부각되는 상황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고객 중심' 경영을 강조해 왔다. 이 발언과 대조적으로 미국 내 로펌들이 피해자 모집에 나서고 소비자 보호단체가 조사에 돌입하면서,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 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사진=현대자동차그룹]

 

이번 사고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IT법인 '현대오토에버 아메리카(HAEA)'에서 2월 말~3월 초 사이 발생했다. 현지 언론은 이름, 사회보장번호(SSN), 운전면허번호 등이 포함된 민감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현대오토에버는 실제로는 고객 정보가 아닌 일부 임직원의 내부 연락처 정보만 유출됐다고 진화에 나섰다. 회사 측은 "해당 사안은 이미 지난 5월 언론 보도로 알려진 내용이며 사고 직후 전담 대응팀을 꾸려 절차대로 조치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또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통해 추가 침해 시도를 차단 중"이라고 덧붙였다.

 

논란의 핵심은 통보 시점이다. 해킹은 2~3월에 발생했지만 사측이 통보한 시점은 약 7개월이 지난 10월 말, 미국 로펌들은 "침해 사실을 늦게 공개했다"며 은폐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미국의 데이터 브리치 공지 의무 규정은 '지체 없는 통보'를 요구한다.

 

이에 대해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고의적 지연이 아니라 포렌식 분석과 영향받은 대상자를 특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며 "북미에서 유사 사고의 개인 통지까지 평균 9개월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오히려 짧은 편"이라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미국 소비자들의 우려는 지속되고 있다. 이번 사고가 현대차그룹 글로벌 보안 체계의 취약성을 드러낸 만큼, 국내 본사 차원의 보안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에서 개인정보 침해는 곧바로 대규모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경영진의 책임이 무겁다"며 "김윤구 대표가 적극적으로 상황을 관리하지 않으면 논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AI 쇼호스트·챗봇 도입한 첫 라이브 커머스
[메가경제=정호 기자] 놀유니버스가 NOL 라이브에서 처음으로 AI(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라이브 커머스를 선보였다. 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은 메종글래드 제주 특가 NOL 라이브 방송에서 AI 기반 기술을 처음 적용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날 진행된 라이브 방송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해 상품을 소개했다. AI로 제작된 가상의 쇼호스트가 방송 진행을

2

한진, 중소셀러 상생하는 '원클릭 오늘배송' 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진 원클릭이 합리적인 비용의 당일 배송 솔루션을 선보이며 소규모 셀러의 배송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한진이 28일부터 온라인 사업자를 위한 종합 물류 솔루션 ‘한진 원클릭’ ‘오늘배송’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원클릭 오늘배송은 이커머스 소비자에게 당일 배송을 제공하고자 하는 소규모 사업자에 최적화된 서비스다. 방문

3

오비맥주, 'CSR 필름 페스티벌 어워드' 산자부 장관상 수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전국의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을 응원하는 오비맥주의 ‘우리동네 히어로’ 캠페인이 ‘2025 CSR 필름 페스티벌 어워드’에서 ‘따뜻한 사회 부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28일 오비맥주에 따르면 ‘CSR 필름 페스티벌 어워드'는 기업과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을 영상으로 공모해 평가하는 행사로, 2012년 시작해 올해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