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국가대표 브랜드 선정, K-브랜드지수 국내 대학 TOP10 발표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2 10:13:29
  • -
  • +
  • 인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국내 대학 부문 1위에 서울대학교가 선정됐다고 2일 발표했다.

 

▲이미지1 / 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진행하고 있다.

국가대표 브랜드를 표방하는 K-브랜드지수는 해당 부문별 퍼블릭(Public)·트렌드(Trend)·미디어(Media)·소셜(Social)·긍정(Positive)·부정(Negative)·활성화(TA)·커뮤니티(Community) 인덱스 등의 가중치 배제 기준을 적용한 합산 수치로 산출된다.

이번 K-브랜드지수 국내 대학 부문은 인문·사회·자연·공학 등 4개 계열 이상을 갖춘 종합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2024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의 온라인 빅데이터 1271만 6808건을 분석했다.

‘K-브랜드지수’ 국내 대학 부문 1위에 서울대학교가 등극한 가운데 연세대학교(2위), 고려대학교(3위), 경희대학교(4위), 한양대학교(5위), 중앙대학교(6위), 이화여자대학교(7위), 성균관대학교(8위), 동국대학교(9위), 국민대학교(10위)가 TOP10의 영예를 차지했다.

 

▲이미지2 / 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한정근 아시아브랜드연구소 대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브랜드지수 국내 대학 부문은 지난 4월에 이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TOP3' 체재가 유지되고 있다. 이달 9일부터 2025학년도 대학 수시모집 원서 접수가 시작되는 만큼 이번 K-브랜드지수 순위는 각 대학들의 장단점을 다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한 대표는  “특히 지난 평가에서 하위권에 머물렀던 이화여자대학교가 7위로 급부상하며 존재감을 입증했다. 경희대학교를 비롯한 동국대학교와 국민대학교의 약진과 함께 성균관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등의 부진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해당 데이터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산출된 온라인 인덱스 수치로, 각종 오프라인 인덱스 수치는 미반영된 것임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K-브랜드지수 국내 대학 부문은 특수목적대(3군 사관학교·경찰대·교육대) 및 포항공과대학교·한국과학기술원(KAIST)·울산과학기술원·광주과학기술원·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을 대상에서 제외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