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년째 수장없는 HUG···경영공백 언제까지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4-11 17:16:49
  • -
  • +
  • 인쇄
부사장 직무대행 체제, 공모 진행 빨라야 6월 선임 가능
전세사기 등 임차인 보호 문제 등 현안 산적해 있는데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사장 자리가 반년 넘게 공석으로 이어져 경영공백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조직경영뿐만 아니라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부실증가, 전세사기 급증 등 HUG의 역할과 과제는 산적해 있다. HUG는 사장 재공모 절차에 나섰지만 단시일내에 선임이 어렵고 차기 사장이 누가될지 여전히 안갯속이다.

HUG는 지난 5일 신임 사장 공모를 재개했다. 작년 10월 권형택 사장이 사퇴한 지 6개월 만이다.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오는 14일까지 지원자를 받고 이중 2∼3배수를 추려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에 후보자를 추천하기로 했다. 이어 주주총회를 열고 이를 통과한 최종후보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제청후 대통령이 임명한다.

 

▲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사장자리가 6개월째 공석이다. [사진=주택도시보증공사]


HUG는 지난해 10월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권형택 사장 사퇴 후 공모 절차를 거쳐 박동영 파인우드프라이빗에쿼티 대표를 새 사장 후보로 선정했다. 박 후보는 지난 2월 말 주주총회에서 최종 후보자로 결정됐지만 돌연 사퇴했다. 이후 HUG는 부사장 직무대행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HUG가 다시 새 사장 영입 절차에 들어갔지만 공모부터 임명까지 2~3개월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빨라야 6월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임차인 보호에 비상이 걸리면서 HUG의 역할에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쏠리고 있다.


먼저 전세가가 매매가를 웃도는 '깡통전세'가 늘고 있어 회수 불가능한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회수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집값 하락 기조가 유지될 경우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가 적은 주택을 매입해 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갭투자'를 통해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임차인 피해가 확산될 전망이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주택 매매가격이 20% 하락할 경우 갭투자 주택 40%가 보증금을 반환 못 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세사기가 급증하면서 전세보증금 미 반환 사고가 전국에서 빈발하고 있는데 HUG의 올해 1월 대위변제액은 1692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24%나 폭증했다. 지난해에만 1조 1726억 원 규모의 보증사고가 발생해 HUG는 이중 9241억원을 세입자에게 돌려줬고 지난 2월까지 3605억원(39%)을 회수했다.

이렇듯 신임 사장이 짊어져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는 지적이다. 그간 HUG는 외부출신 사장만 영입해 왔다. 현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HUG 업무에 정통한 내부출신 인사에게 수장을 맡겨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는 이유다.

HUG관계자는 "사장 공석 상태이지만 일상 운영에는 큰 문제가 없다. 사장 선임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이른 선임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기관장 리더십이 필요하거나 대외협력 등에 있어 적임자가 선임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점자의 날 기념식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가 점자 발전과 활용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99돌 한글 점자의 날 기념식’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4일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이번 점자의 날 기념식은 한글 점자의 창제와 보급 의의를 기리고,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향상과 점자 문화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를 표창하기

2

현대차·기아, 셔클 첫 해외 시범사업 성료....글로벌 가능성 확인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수요응답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셔클(SHUCLE)’이 해외에서의 시범사업에 성공하며 글로벌 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현대차·기아는 헝가리 괴될뢰(Gödöllő)시에서 진행된 셔클의 ‘헝가리 수요응답교통 서비스 시범사업’을 지난달 31일 성공적으로 종료했으며, 이 과정을

3

한국수입자동차협회, 10월 수입 승용차 2만4064대 신규등록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0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9월 3만2834대보다 26.7% 감소, 2024년 10월 2만1249대보다 13.2% 증가한 24,064대로 집계됐으며 10월까지 누적 24만9412대는 전년 동기 21만5980대보다 15.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10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비엠더블유(BMW) 61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