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가정의 달 맞아 ‘사랑의 孝박스’ 판매...종로구 골목상권 지원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5-06 10:33:03
  • -
  • +
  • 인쇄

KT(대표 구현모)는 가정의 달을 맞아 코로나19로 매출이 줄어든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사랑의 효(孝)박스’ 활동을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사랑의 효박스는 KT의 사랑의 시리즈 일곱 번째 프로젝트다.

사랑의 효박스는 서울 종로구 꽃집, 인사동 전통 물품을 담아 만든 패키지 상품이다. 가정의 달을 맞아 카네이션 화분, 전통 꽃자수 마스크, 전통 자수 용돈 주머니, 미세먼지 필터 등 가족에게 선물할 수 있는 2만 원 상당의 4종 물품으로 구성됐다. 회사와 직원이 각 1만 원씩 구매비용을 부담한다. 

 

▲ 사랑의 효박스 [사진=KT 제공]


KT는 6일과 7일 양일간 나눠정(情) 앱을 통해 사랑의 효박스 2000개를 임직원을 대상으로 판매한다. 이와 함께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 협력해 인근 독거 어르신에게 200개의 효박스를 기부한다. 나눠정 앱은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3월 만든 KT의 착한 소비 플랫폼으로 간편 조리식 ‘사랑의 밀키트’를 구매할 수 있다.

인사동에서 전통 용품을 판매하는 이현자 사장은 “코로나로 관광객 발길이 뚝 끊기면서 인사동 상가들이 줄지어 폐업하고 있다”며 “KT ‘사랑의 효박스’로 이번 달 매출 걱정을 한시름 덜게 됐다”고 말했다.

이선주 KT ESG경영추진실장(상무)는 “‘사랑의 효박스’로 가정의 달 사랑과 따뜻함을 나누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며 “KT는 회사와 임직원이 함께하는 ‘사랑의 시리즈’로 나눔실천과 함께 KT만의 차별화된 ESG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지난해부터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사랑의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3월과 4월 광화문과 우면동 일대 식당에서 만든 도시락을 KT 사옥 구내식당에서 판매하는 ‘사랑의 도시락’ 캠페인을 시작으로 공연계를 돕기 위해 소극장 공연티켓 2000장을 선구매한 ‘사랑의 소극장’, 급식 납품업체를 돕기 위한 ‘사랑의 농산물 꾸러미’ 임차료, 수해 피해를 입은 과수농가를 지원하는 ‘사랑의 과일’, 인건비 압박을 겪고 있는 광화문 인근 식당 50곳을 선정, 식당별로 100만 원을 선결제하고 착한 소비를 독려하는 ‘사랑의 선(善)결제’를 운영했다.

또한 올해 1월부터 광화문 인근 식당에서 만든 ‘사랑의 밀키트’를 KT 광화문 사옥에서 판매하고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네이버, 3분기 영업익 5706억원…전년比 8.6%↑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액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 당기순이익 734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3분기 연결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커머스 등 주요 사업 부문이 인공지능(AI) 접목 효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며, 전년동기 대비 15.6%, 전분기 대비 7.6% 증가한 3조1381억원을 달성했다.

2

'야구여왕', '블랙퀸즈' 훈련 공개! 아야카·김온아·주수진·송아, 잠재력↑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A 새 예능 ‘야구여왕’이 ‘레전드 여성 선출’들로 구성된 여성 야구단 ‘블랙퀸즈’의 열혈 훈련 현장을 전격 공개했다. 11월 25일(화) 밤 10시 첫 방송하는 채널A의 새 스포츠 예능 ‘야구여왕’은 각기 다른 스포츠 종목의 레전드 여성 선출들이 ‘야구’라는 낯선 무대에 도전장을 내미는 스포츠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육상

3

아자스쿨, 한-베 양방향 국제교육 프로그램 확대…베트남 주요 대학과 협력
[메가경제=정호 기자] 아자스쿨이 한국, 베트남의 양방향 국제교육 프로그램 확대 일환으로 베트남 지역 주요 대학들과 협력한다. 아자스쿨은 베트남 지역 주요 대학들과 교육·문화 교류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 대학과의 공동 글로벌 프로그램 모델 구축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의 대상은 베트남 중부 지역 주요 대학인 다낭재정경제대학교, FPT대학교, 뚜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