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브랜드지수 트로트 가수 부문 TOP10 ...‘1위 임영웅 vs 2위 이찬원’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9 11:02:45
  • -
  • +
  • 인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트로트 가수 부문 1위에 임영웅이 선정됐다고 9일 발표했다.

 

▲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각 부문의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는 K-브랜드지수는 트렌드(Trend)·미디어(Media)·소셜(Social)·커뮤니티(Community)·활성화(TA)·긍정(Positive)·부정(Negative) 인덱스의 가중치 배제 기준을 적용한 합산 수치로 산출된다.

이번 K-브랜드지수 트로트 가수 부문은 포털사이트 검색량 상위 30위 트로트 가수를 대상으로, 2024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의 온라인 빅데이터 2억 2508만 9985건을 분석했다.

K-브랜드지수 트로트 가수 부문은 임영웅이 1위에 등극한 가운데 이찬원(2위), 박서진(3위), 정동원(4위), 영탁(5위), 박지현(6위), 손태진(7위), 장민호(8위), 장윤정(9위), 김다현(10위) 등이 TOP10의 영예를 안았다.

아시아브랜드연구소 류원선 리서치센터장은 “오랜 역사 속 국민의 애환을 노래했던 트로트 장르는 일부 장년층의 문화로 치부되며 가요계 비주류로 취급받았으나, 2019년 TV조선 트로트 경연 프로그램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차세대 K-펍’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인기 트로트 가수들이 앞다퉈 해외 진출을 추진 중이며, 국내 대표적인 연예 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트로트 아이돌 그룹’ 런칭을 공식 발표해 기대를 모으는 상황”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대한민국 트로트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감성장인’ 임영웅은 음악 뿐만 아니라 광고모델 등 각종 분야의 인기도 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며 존재감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임영웅은 이번 K-브랜드지수 트로트 가수 부문의 모든 인덱스에서 최고 점수를 획득하며 최정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데이터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산출된 온라인 인덱스 수치로, 각종 오프라인 인덱스 수치는 미반영된 것임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브랜드지수는 최근 한국갤럽이 발표한 대중문화 6개 부문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한 빅데이터 비교 순위를 제시해 신뢰도를 검증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제약그룹 아이디언스, EAEU·GCC 지역 항암신약 라이선스 계약 체결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일동제약그룹의 항암 신약 개발 계열사 아이디언스(대표 이원식)가 자사 표적항암제 신약후보물질 베나다파립(Venadaparib)의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및 GCC(걸프협력이사회) 지역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계약은 선급금과 마일스톤 등을 포함해 총 5천만 달러(약 700억 원) 규모로, 아이디언스가 완제 의

2

KB금융, '2024 자연자본 공시 보고서' 발간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7일 ‘푸른 하늘의 날’을 맞아 자연자본과 금융의 연계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글로벌 기준과의 정합성을 확보한 '2024 자연자본 공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자연자본 공시란 기업이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를 재무적으로 평가하고 관리 방안을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지난 2021년 6월

3

삼성디스플레이, 세계 최대 모빌리티 전시 獨 'IAA 모빌리티 2025' 참가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인 오토(Auto) 사업 성장을 위해 차량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포트폴리오를 대폭 강화하고 고객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9일부터 14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빌리티 전시회 'IAA 모빌리티 2025'에 전세계 패널 업체 중 유일하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