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해외주식투자도 가능한 '하나 밀리언달러 통장' 선뵈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8-18 11:26:24
  • -
  • +
  • 인쇄
환율우대 최대 90%, 타발 송금수수료 면제 등 다양한 이벤트 실시

하나은행이 증권사와 연계해 해외주식 투자부터 안전자산인 달러투자 까지 계좌 하나로 거래가 가능한 외화통장을 출시했다. 최대 90%의 환율을 우대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도 실시한다.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은 삼성증권과 연계하여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할 수 있고 안전자산인 달러투자 까지 가능한'하나 밀리언달러 통장'을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은 삼성증권과 연계해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할 수 있고 안전자산인 달러투자 까지 가능한'하나 밀리언달러 통장'을 출시한다 [자료=하나은행 제공]

'하나 밀리언달러 통장'은 27개 통화 중 최대 10개 통화가 예치 가능한 외화 다통화 입출금 통장으로 증권사 제휴를 통해 해외주식 매매, 체크카드 외화결제, 코로나19 이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해외여행 및 유학준비 까지 하나의 통장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장이다.

또, 해외 주식에 투자하기 위한 별도의 이체나 환전 절차 없이 은행에 보유 중인 미달러화를 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할 수 있으며 환율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해는 줄이고, 편의성은 크게 높였다. 해외주식 투자 제휴 증권사는 삼성증권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상품 출시를 기념해 하나 밀리언달러 통장을 신규 개설한 손님을 대상으로 환율우대, 타발 송금수수료 면제 등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한다.

먼저, 대상 손님이 미화 입,출금 시 환율 90% 우대 이벤트를 9월 30일까지 진행하며 건 당 미화 500달러 이하 타발송금에 대해 월 1회에 한해 송금수수료를 면제하는 이벤트를 12월 31일 까지 진행한다.

또한 삼성증권 연계 계좌 추가 가입 손님을 대상으로 ▲계좌 잔액이 미화 10달러 이상 손님 1만명에게 미화 10달러 지급, ▲해당 계좌를 통해 해외주식을 누적 미화 1천달러 이상 매매한 손님 1천명에게 미화 20달러 지급, ▲매주 한 명씩 총 6명을 추첨하여‘다이슨 에어랩 스타일러’경품 지급 이벤트를 9월 30일 까지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은행 외환사업단 관계자는“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외국환 전문 은행으로서 원화통장처럼 전 국민이 하나 밀리언달러 통장을 1인 1계좌 보유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2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3

롯데웰푸드, 인천시 어린이 구강 건강 돕는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웰푸드가 인천광역시교육청, 충치예방연구회와 ‘자일리톨 스마트해빗(SMART HABIT)’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3일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어린이 구강건강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대원 롯데웰푸드 건과마케팅부문장,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이병진 충치예방연구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