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착륙 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 안정적 통제·관리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지난 3월 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대비 1%p 가까이 급등했고 저축은행업권과 증권업권의 PF 대출 연체율이 각각 11%대, 17%대로 치솟아 우려감을 더하고 있다.
업권별로 저축은행업은 PF 대출 연체율이 작년 말(6.96%)보다 4.30%p 오른 11.26%를 기록했고 증권업은 같은 기간 3.84%p 오른 17.57%로 집계됐다. 여신전문은 5.27%, 상호금융은 3.19%로 각각 0.62%p, 0.07%p 올랐다. 은행과 보험권의 연체율은 0.51%, 1.18%로 낮고 상승 폭도 각각 0.16%p씩 불과했다.
![]() |
▲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2차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금융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감독원,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제2차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 점검회의'를 열고 금융권 PF 대출 현황 및 연착륙 대책 세부 일정 등을 점검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3.55%로 작년 12월 말(2.70%) 대비 0.85%p 상승했다. 작년 3월 말(2.01%) 대비로는 1년 새 1.54%p 오른 수치다.
전체 PF 대출 잔액은 134조2000억원으로 작년 말(135조6000억원)보다 1조4000억원 줄었다. 금융당국 공식 통계는 PF 대출과 유사한 성격으로 통하는 저축은행 토지담보대출이나 새마을금고 관리형토지신탁 등이 포함되지 않았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발표한 PF 연착륙 대책 및 사업성 평가 규모 적용 대상으로 토지담보대출과 새마을금고를 합산한 230조원을 지목했다.
금융위는 PF 사업장에 대한 신규 자금 공급이 부진하고 금융권이 부실 브릿지론에 대해 예상손실을 100% 인식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했다. 부실 PF 사업장 정리가 지연되는 점도 연체율 상승의 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와 관련 금융위는 "그간 금융당국 감독 대상 금융회사의 브릿지론과 본PF 대출을 대상으로 연체율 통계를 내왔다"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와 달리 토지담보대출, 새마을금고, 채무보증을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PF 연체율이 오른 건 사실이지만, 지난달 발표된 연착륙 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안정적으로 통제·관리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금융위는 "건전성이 양호한 은행과 보험사가 PF대출의 절반 이상인 전체 잔액의 65%을 차지하고 과거 위기 시기인 2012년 말 13.62% 대비 연체율이 상당히 낮은 점, PF 대출의 만기 도래가 특정 시점에 집중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하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또한 금융위는 상대적으로 연체율이 높은 증권과 저축은행의 경우 높은 자본비율 및 충당금으로 추가적인 손실 발생도 관리 가능하다고 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