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부동산 실정에 뿔난 민심 잡았다...규제완화·공급확대 기대감↑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3-10 16:59:50
  • -
  • +
  • 인쇄
5년간 주택 250만 호 공급...청년원가주택 공약 지킬까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완화...재개발‧재건축 속도낼 듯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정에 뿔난 민심을 공략해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를 거머쥔 윤석열 당선자가 펼칠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주택 공급량 확대와 규제 완화가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윤 당선인은 지난 선거 기간 현 정권의 과도한 부동산 규제 정책과 적극적인 시장 개입 등을 비판하며 지지 세력을 결집했다.


 
▲ 10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의 '국민의힘 제 20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을 찾은 윤석열 당선인 [사진=연합뉴스]

 

윤 당선인의 부동산 공급량 확대 공약은 임기 5년간 총 250만 호 이상 주택을 공급한다는 내용이다. 이 중 130만~150만 호는 수도권에 공급할 예정이다.

청년층의 내 집 마련을 위한 공약으로는 ‘청년원가주택’을 내세웠다. 이는 집을 살 때 분양가 20%만 내면 나머지 80%는 장기원리금상환방식으로 매입하는 방식이다.

5년 이상 거주한 뒤 집을 팔 때 국가가 이를 매입해준다. 이때 매매차익의 70%를 되돌려줘 청년층 자산 형성을 돕겠다는 취지의 공약이다.

또한 신혼부부까지 고려한 반값 주택 '역세권 첫 집' 20만 호도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민간 재개발‧재건축 사업 용적률을 확대해주고, 늘어난 용적률의 절반을 공공분양주택으로 기부채납 받아 일부를 채우는 방식이다. 나머지는 역세권의 철도차량기지 등 국공유지를 활용해 충당한다. 

청년층‧신혼부부의 주택 구입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는 80%까지 확대한다는 내용도 공약에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1~2인 가구에 알맞은 60㎡ 이하 소형주택 기준을 신설하고, 군 전역 장병에게는 청약가점 5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은 연평균 10만 호씩 총 50만 호를 공급해 주거취약계층의 혜택도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 서울 아파트 밀집 지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윤 당선인의 부동산 정책 공약에서 또 다른 한 축은 규제 완화다.

특히 재건축‧재개발‧리모델링 등의 정비사업에서의 규제 완화를 강조해왔다. 재건축 활성화를 위해 준공 30년이 지난 노후 공동주택에 대한 정밀안전진단검사를 면제해주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안전진단 평가 기준 자체도 더욱 낮출 계획이다. 평가 항목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구조안전성 비중은 30%로 줄이고, 현재 15%인 주거환경 비중을 30%로 늘리는 등의 조정을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완화하겠다는 공약에 시장의 기대가 클 전망이다

초과이익환수제는 재건축을 통해 조합원이 3000만 원 이상의 개발 이익을 얻을 시 정부가 이익의 최고 50%를 부담금으로 환수하는 제도다. 조합원이 재건축으로 얻을 이익에 미리 세금을 부과하는 셈이다.

이 제도는 앞서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9월에 처음 도입됐다. 지난 2013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유예했다가 2018년 현 정부에서 되살렸다.

또한 윤 당선인은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증축 기준을 재검토하고 민간 기업 참여도 늘리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1기 신도시 재정비사업 촉진 특별법' 제정도 추진해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의 수도권 1기 신도시 재개발을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한 1기 신도시의 주택 추가 공급량은 10만 호 규모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청약제도 가점제‧추첨제 비율 재조정과 임대차 3법의 전면 재검토 등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