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BMW가 또다시 대규모 리콜을 결정했지만 여전히 찜찜한 구석이 남아 있어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번 추가 리콜은 지난달 24일 민관합동조사단의 BMW 차량 화재 관련 최종 조사결과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다. 그러나 이번 추가 리콜 발표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완전히 가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조사단의 발표는 정부의 공신력이 밑받침됐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난해 여름 화재 결함으로 인해 많은 국민들에게 공포를 안겨준 BMW의 설계결함을 정부가 공식 인정했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대규모 리콜이 결정된 것은 다행이지만 일각에서는 좀 더 근본적인 문제해결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해 말 조사결과 발표에서 "EGR(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모듈을 바꾼다고 하더라도 현 상태에서 사용되는 EGR 용량을 키우거나, 흡기다기관의 재질을 알루미늄 등으로 바꾸지 않는 한 언젠가 화재가 다시 날 가능성을 부인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23일 서울 서초구 BMW 차량 정비센터에 정비대기중인 차량이 줄지어 있다. 이 날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말 발표한 BMW 차량 화재에 대한 민관합동조사단 조사결과에 따라 BMW EGR 모듈 냉각수 누수로 오염된 흡기다기관과 EGR 모듈 재고품이 장착된 차량에 대해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사진= 연합뉴스]](/news/data/20190123/p179565848312951_758.jpg)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대표인 류도정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연구원장은 "BMW 측이 조사단의 조사 결과와 대책 요구에 대해 인정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당장 할 수 있는 조치만 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합동조사단은 BMW가 기존에 화재 원인으로 지목한 EGR 교체 외에 흡기다기관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며 추가 리콜을 요구했다. 리콜을 통해 EGR 모듈을 교체한 차량에서도 흡기다기관 부위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내린 조치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BMW가 이같은 계획을 가져와 승인했다"며 "실제로 BMW가 8만개 가까운 부품의 누수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는지는 불시 점검을 통해 철저히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도 정부가 해야 할 일이 많다. 우선 지난해 최종발표한 BMW 결함에 대한 조사 결과의 미흡한 부분을 보강해야 한다. 지난해 안에 조사결과를 최종 발표하느라 시간이 부족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BMW의 엔진 설계 잘못이라는 내용을 입증하는 EGR 쿨러 냉각수의 양이 얼마나 부족한지 다른 차량 대비 측정치가 나와야 하고, EGR 밸브 등 각종 부품에 가해진 무리한 운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집중적으로 보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충분한 조사 이후에는 검·경 수사와 BMW의 소명에 따라 재보완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추가 조사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BMW의 진솔한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 지사 차원의 단순한 해명이 아니라 본사의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 '운전자의 장거리 운행'이나 '무리한 운행'과 같은 어불성설의 변명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공학적으로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는 대답이 본사 차원에서 나와야 한다.
최악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해 여름, BMW 차주는 화재발생이라는 불안감과 따가운 시선 속에서 고통받아야 했다. 이달 BMW가 대규모 리콜을 결정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올 여름 역시 BMW는 화재라는 큰 불안요소를 안고 긴장 속에 달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