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맛있는족발, 배달된 족발 반찬 속 쥐 파문에 대표 명의 공식사과문 게재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0-12-11 01:32:12
  • -
  • +
  • 인쇄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배달된 족발의 반찬에 쥐가 발견돼 파문을 일으킨 이른바 ‘쥐 족발’ 사건과 관련해 ‘가장맛있는 족발’ 측이 10일 최종완 대표이사 명의의 공식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이 사과문에서 최 대표는 “금번 당사 매장(상암디지털점)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하여 기업의 대표로서 매장관리 소홀로 인한 큰 책임을 통감하며 이에 대해 다시 한 번 피해를 입으신 해당고객님과 저희 브랜드를 사랑해 주신 모든 고객님께 진심으로 고개 숙여 사과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사과가 늦어진 이유와 관련, “사건 발생 즉시 고객님들께 사건의 발생 경위를 밝히고 사과드려야 했으나 사안이 외식업 매장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하여 사건발생의 원인규명을 해야 했기에 늦게 사과를 올리게 된 점 또한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 '가장맛있는족발'은 10일, 배달된 족발 반찬 속 쥐 이물 혼입 관련해 최종완 대표이사 명의로 공식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올렸다. [출처= 가장맛있는족발 홈페이지 캡처]

 

최 대표는 “해당 매장은 사건발생 직후 즉시 모든 운영을 중단했으며 성실히 조사에 임했다”며 “당 사건에 대해 정부기관인 식약처의 면밀한 검사(CCTV 확인 및 해당매장의 발생가능성 현장점검) 결과 주방천장에 설치된 환풍기 배관의 파손부분에서 낙하된 쥐가 해당 반찬통에 유입된 것으로 CCTV 영상에서 확인되었으며 매장의 직원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고객님께 제공된 포장에 함께 포장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고 경위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전에 충분히 일어나지 않도록 매장을 관리하고 고객님께 드리는 하나하나의 제품에 신중히 정성을 드려 준비했어야 하나 해당 매장의 점주와 직원이 이 부분을 소홀히 한 점에 대해서는 본사의 대표로서 그 어떤 말로도 고객님들께 죄송함을 표현할 길이 없다”고 거듭 사과했다. 


아울러 “대표인 저는 해당 사건으로 크나큰 정신적 충격의 피해를 입으신 해당 고객님을 직접 찾아 뵙고 진심을 담은 사과와 보상 그리고 재발방지에 대한 약속을 드렸다”고 전했다. 


최 대표는 그러면서 “이번 사건발생 이후 혹여 발생할지 모르는 위험에 대해 선제적 예방 차원에서 당사 슈퍼바이저는 물론 국내 최대 방역업체와 전국의 모든 매장에 대한 위해요소 및 해충방제 계획에 대해 일체 점검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조속히 완료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