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아카데미' 전현무, 촬영 거부 사태 '무슨 일?'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0 08:44:43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브레인 아카데미’의 전현무가 녹화 중 돌연 ‘촬영 거부’를 선언한다. 

 

▲'브레인 아카데미'. [사진=채널A]

 

12일(목) 밤 10시 방송되는 채널A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3회에서는 카이스트 대학원 물리학과 박사 출신의 교수이자, ‘떨림과 울림’ 외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보유한 ‘대한민국 대표 물리학자’ 김상욱이 ‘과학 마스터’로 등판해, ‘과학이 어떻게 혁명을 일으켰나’를 주제로 퀴즈 출제와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선사한다. 

 

이날 ‘연예계 브레인’ 6인방 전현무-하석진-이상엽-윤소희-황제성-궤도는 세 번째 만남으로 더욱 끈끈한 케미를 발산한다. 그러던 중, 하석진은 “우리의 ‘지식 메달’ 존이 깨끗하다. 오늘이 첫 녹화 맞죠?”라고 너스레를 떨어 모두를 폭소케 한다. 앞서 이들은 ‘건축 마스터’ 유현준 교수, ‘심리 마스터’ 김경일 교수를 맞아 퀴즈에 도전했으나, 지식 메달 획득에는 아쉽게 실패했던 터. 이에 ‘브레인 6인방’은 “오늘은 기필코 메달을 따내자!”며 주먹을 불끈 쥔다. 

 

직후, 이날의 분야로 ‘과학’이 소개되자, ‘과학 브레인’ 궤도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박수를 친다. 반면 이상엽은 “혹시 (마스터가) 너야?”라며 ‘동공확장’을 일으키는데, 전현무는 “네가 마스터면 나 안 할래”라고 급발진해 스튜디오를 뒤집어 놓는다. 궤도는 “김상욱 교수님 아닐까?”라며 수습에 나서고, 이 말을 들은 전현무는 “우리 중 과학계 재원이 4명(하석진, 윤소희, 황제성, 궤도)이나 있고, 특히 궤도가 있어서 마스터도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선전을 예감한다. 

 

이렇게 첫 메달 획득에 대한 기대감이 치솟은 가운데, 김상욱 교수가 등장한다. 전현무는 김상욱 교수와 격하게 반긴 뒤, “오늘 문제가 어려울 것 같다”며 급 긴장한다. 김상욱 교수는 “이렇게 이야기를 시작해보겠다. 여러분이 여기 올 때까지 과학이 개입되지 않은 일상이 있었는지?”라고 입을 연다. 이상엽은 “이거 궤도가 늘 하는 말 같다”며 친근해하고, 궤도는 “(그런 일상은) 없습니다! 믿습니다!”라고 크게 외쳐 김상욱 교수를 흡족케 한다. 

 

‘김상욱교’가 탄생한 것 같은 현장에서 과연 김상욱 교수가 전할 과학 이야기가 무엇일지와, ‘브레인 6인방’이 과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지식 메달’을 획득에 성공할 수 있을지에 폭풍 관심이 쏠린다. 김상욱 교수가 ‘과학’ 석학으로 나서는 채널A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3회는 12일(목) 밤 10시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