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쟁점으로 밀린 연준 금리 조정 시기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5-05 14:06:14
  • -
  • +
  • 인쇄
11월 대선 전후로 행동 예상, 경제 지표 등 고려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 11월 미국 대선을 전후로 행동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당초 올 6월로 예상됐던 연준의 금리 조정 시기가 정치적 쟁점으로 점차 밀리면서, 글로벌 경제계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일 연방기금금리를 연간 5.25~5.50%로 또 동결했다. 지난해 9월 이후 6회 연속 동결이다.

그러나 대다수 기업 관계자들은 연준의 금리 결정 시기가 올 대선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며 촉각을 곤두세우는 양상이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와 민주당은 금리인하를 중앙은행에 요구하고 있지만, 중앙은행 내부에서는 금리인상에 대한 의견이 점차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철강업계 관계자는 메가경제에 “미국 대선 전후를 기점으로 연준의 피벗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의 금리 피벗은 세계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준은 최근까지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동결 정책을 펼쳐왔으나, 경기 침체와 금융 시장 변동성 심화로 인해 금리 인하 찬반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리인하 지지자들은 과도한 금리 인상은 경기 침체를 가속화하고 실업률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또한 미국, 유럽 등 주요 경제권의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리 인하를 통해 경제 성장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강조한다.

반면 금리 인상 유지를 주장하는 측은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에너지 가격 상승과 공급망 문제로 인한 지속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현재 상황을 종합해볼 때,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은 경제 지표, 물가 상황, 금융 시장 변동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리아, ‘희망ON’ 기금 서대문구청에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GRS가 운영하는 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롯데리아가 지난 6일 고객 참여형 ‘희망ON’ 캠페인을 통해 모금한 기부금 2000만원을 서대문구청에 지역아동들을 위해 전달했다고 7일 밝혔다. 희망ON 캠페인은 자사 어플 ‘롯데잇츠’의 주문 건수를 매칭해 고객 주문 1건당 50원이 자동 모금되고 조성된 기금은 지역자치구를 통해 결식아동,

2

티웨이항공, 2026년 하계 스케줄 오픈 기념 특가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은 2026년 하계 스케줄 항공편 예약 오픈을 기념한 특가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이달 16일까지 티웨이항공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웹)을 통해 진행하며, △일본 △중화권 △동남아 △유럽 △미주 △중앙아시아 △대양주 등 국제선 및 국내선 60개 노선을 대상으로 한다. 탑승 기간은 내년 10월

3

파라타항공, 인천-나리타 노선서 지속가능항공유 사용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파라타항공이 국내에서 생산한 SAF(지속가능항공유)를 인천~나리타 노선에서 사용하기로 했다. SAF(지속가능항공유)는 폐기름이나 동,식물성 유지 등 친환경 원료를 활용해 만든 항공유로 일반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 가까이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인 탄소 감축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파라타항공은 오는 11월 17일로 예정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