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젠셀이 개인 맞춤형 면역치료를 위한 ‘진단키트 사업‘에 진출하고, 이를 위해 ‘정밀의료진단그룹‘을 신설했다고 15일 공식 발표했다.
바이젠셀은 기존의 면역세포치료제와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뿐만 아니라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사업을 통해 ‘개인별 정밀맞춤의료‘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 |
▲ [바이젠셀 CI] |
바이젠셀이 현재 개발 중인 진단키트는 ‘T세포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 ‘주조직적합성 항원 검사 제품‘, ‘주조직적합성 항원 항체 검사 제품‘이다.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감염성 질환 제품‘과 달리, 암과 같은 난치병 치료를 위한 ’면역체계 기반 진단키트‘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국내 최초로 상용화를 시도하는 진단키트다. 종양의 진단에서부터 종양의 잔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미세잔류질환 측정과 면역치료 후 경과 모니터링까지 할 수 있는 종합 진단키트다.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활용한 키트다. 기존에 쓰던 ‘전기영동 분석법‘이 종양의 진단과 잔존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정밀한 종양진단·면역치료 후 경과 모니터링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T세포 샘플이 필요해 그동안 국내에서는 상용화되지 못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글로벌 정밀진단 기술개발사인 ‘인비보스크라이브‘ 한 곳에서만 제작하는 희귀 진단키트다.
지난해 인비보스크라이브에서 개발한 제품이 국내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해 연구용이 아닌 병원 판매도 가능해졌다. 면역치료를 위한 T세포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바이젠셀은 국내 최초·최다 T세포 임상 경험과 다양한 T세포 샘플 보유 경쟁력을 바탕으로,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을 내년 말까지 상용화할 예정이다.
또한 이 진단키트는 바이젠셀에서 개발 중인 난치질환 치료제의 정확하고 표준화된 치료 경과 모니터링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 바이젠셀 파이프라인의 상용화를 더욱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바이젠셀은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개발을 위해 ‘정밀의료진단그룹‘을 신설하고 가톨릭대 의생물학 박사 출신의 최희백 상무를 영입했다. 이에 더해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의 3개 본부를 9개 그룹으로 세분화했다. 치료제 파이프라인 조기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