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4조4500억·CE 1조5600억·반도체 5조5400억·DP 4700억 영업익 기록
4분기, 서버 메모리 수요 약세와 세트 경쟁 심화 등으로 수익성 하락 예상
[메가경제= 최낙형 기자]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매출 66조9600조원, 영업이익 12조3500억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29일 밝혔다.
3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26.4%,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해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종전 분기 최고치는 2017년 65조9800억원이었다.
![]() |
▲[사진=연합뉴스] |
삼성전자 관계자는 “지난 3분기 세트 제품 수요가 예상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글로벌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을 활용한 적기 대응으로 판매량이 크게 확대됐고, 부품 사업 수요가 모바일 중심으로 회복돼 분기 매출 신기록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은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적극적 비용 효율화 노력 등으로 전분기 대비 4조2000억원 증가한 12조35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18.4%로 큰 폭으로 개선됐다.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는 것은 2018년 4분기(10조8000억원) 이후 7분기 만에 처음이면서 그 해 3분기 17조5700억원에 이어 2년 만에 가장 높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메모리 업황 개선과 세트 제품 판매 호조 등으로 영업이익과 이익률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모바일(IM)의 영업이익은 4조4500억원, TV·가전(CE) 1조5600억원, 반도체는 5조5400억원, 디스플레이는 4700억원을 기록하는 등 세트와 부품 모두 고르게 양호한 실적을 냈다.
메모리 반도체는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모바일과 PC 등의 견조한 수요 속에 기존 가이던스 대비 출하량이 증가하고 지속적인 원가 개선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시스템LSI 주요 모바일 부품 수요 회복과 파운드리 주요 고객사에 대한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용 칩 등의 수주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DP(Display Panel)는 중소형 패널 주요 고객들의 신제품 판매 확대와 대형 패널 수급 환경 개선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단 전년 동기 대비로는 중소형 패널 주요 고객의 신제품 출시 일정이 예년 대비 지연돼 실적이 감소했다.
IM(IT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의 무선은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량이 약 50% 급증함에 따라 규모의 경제 효과가 확대되고 비용 효율 제고로 수익성이 개선돼 전분기 대비 실적이 대폭 성장했다.
CE 부문은 수요가 큰 폭으로 확대된 가운데, 글로벌 SCM을 활용한 적기 대응으로 프리미엄 TV와 가전제품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모두 크게 개선됐다.
3분기 환영향과 관련해 원화 대비 달러화 약세·유로화 강세로 세트 사업에 일부 긍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부품 사업의 부정적 영향이 이를 상쇄하며 전체 영업이익에 대한 환영향은 미미했다.
삼성전자는 서버 메모리 수요 약세 지속과 세트 사업 경쟁 심화 등으로 4분기 전체 수익성 하락이 예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