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5일 0시 기준을 전날 대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83명 추가돼 누적 확진자는 총 3만6915명(해외유입 4676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
▲ 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시도별 확진환자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629명)보다 46명이 줄었으나 여전히 600명대에 육박하는 위태로운 상황이 이어졌다. 100명 이상 세 자릿수는 지난달 8일부터 이날까지 28일째로 1개월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신규 확진자 수는 200~300명대에서 지난 26일 581명으로 껑충 뛰어오른 데 이어 사흘 내리 500명대를 유지하다가 이후 400명대 이틀째에 이어 500대 이틀째 후 전날(4일)에는 600명대로 급등했었다.
![]() |
▲ 5일 0시 기준 코로나19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
신규 확진자 583명을 감염경로별로 보면 국내발생(지역발생)은 전날(600명)보다 41명 감소한 559명, 해외유입은 전날(29명)보다 4명이 준 24명을 각각 기록했다.
국내발생 확진자 559명은 수도권에서 400명, 비수도권에서 159명이 확진됐다. 수도권은 전날(463명)보다 37명, 비수도권은 전날(159명)보다 22명 줄어든 수치다. 지역발생자는 17개 광역지자체의 전 시·도시에서 나와 ‘3차 대유행’의 전국 확산세를 실감케했다.
비수도권의 경우 부산이 29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경남 27명, 충북 18명, 전북 17명, 경북 16명, 대전·충남 각 10명, 강원 9명, 대구 7명, 광주 6명, 세종·전남 각 4명, 울산·제주 각 1명이다.
![]() |
▲ 5일 0시 기준 코로나19 국내발생 및 해외유입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
수도권 지역발생자는 서울이 231명으로 여전히 가장 많았고, 경기가 150명, 인천이 19명이었다. 전날보다 서울은 60명, 경기는 5명이 각각 줄었으나 인천은 2명이 전날보다 늘었다.
확진자 급증세 속에 하루 새 사망자는 4명이 더 늘어 총 540명이 됐다. 치명률은 1.46%를 기록했다. 사망자는 지난 3일부터 급증, 이날까지 사흘 새(3명→7명→4명)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위중증환자도 이날은 5명이 추가돼 총 121명으로 집계됐다. 위중증환자는 지난 1일 발표에서 하루 새 21명이나 급증한 뒤 2일 발표에서는 누적 100명대(총 101명)를 넘어섰다. 이달 들어 닷새 동안 45명이나 크게 늘었다.
![]() |
▲ 5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관리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
전날 하루 306명이 추가 완치돼 지금까지 누적 격리해제자는 2만8917명으로 78.34%의 완치율을 보였다. 7458명이 격리중이다.
지금까지 누적 검사건수는 318만496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 24명은 입국 검역단계에서 12명이 확인됐고 지역사회에서 자가격리 중 12명(경기 7명, 서울 4명), 경북 1명)이 확진됐다. 내국인은 8명, 외국인은 16명이었다.
해외유입 추정 국가는 미국 9명, 러시아 6명, 인도네시아·일본 각 2명, 스리랑카·인도·벨라루스·스웨덴·영국 각 1명이다.
전날(4일) 오후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발표된 국내 코로나19 주요 발생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 곳곳의 일상 속에서 소규모 집단감염이 얼마나 다발하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 |
▲ 5일 0시 기준 코로나19 격리 및 사망자 현황. [출처= 중앙방역대책본부] |
우선 서울의 경우, 하루 새 두 자릿수 확진자가 추가된 집단발생 사례도 여러 곳이다.
지난달 28일 첫 확진자가 나온 종로구 음식점의 경우, 33명이 무더기로 추가돼 누적 확진자는 총 34명으로 급증했고, 강서구 댄스교습과 관련해서도 21명이 더 양성판정을 받으며 지금까지 확진자는 총 240명에 이르렀다.
종로구 음식점 관련 사례의 경우, 공연무대가 있는 식당, 공연 및 관객의 마스크 착용 미흡 등이 전파위험요인으로 분석됐고, 강서구 댄스교습 관련 사례의 경우 지표환자가 포함된 댄스교습에서 수강생이 근무하는 병원과 학교 등으로 전파되고, 이후 이용자와 종사자, 동료 및 지인에게 추가전파가 이뤄진 것으로 방역당국은 추정했다.
이 집단사례의 경우, 댄스교습 관련 196명, 요양병원 관련 34명, 여주시 대학교 관련 10명 등이 확진됐다.
또한, 성북구 대학교 밴드동아리와 관련해서는 충남 서산시 주점 사례와 연관성이 확인되어 접촉자 조사 중 17명이 추가 확인되면서 누적 확진자는 총 35명으로 늘었다.
충남서산시 주점 집단사례의 지표환자가 성북구 밴드동아리와 서산 주점 두 곳을 방문하면서 전파된 것으로 방역당국은 추정했다. 지금까지 밴드동아리 관련 22명, 서산시 주점 관련 13명이 확진됐다.
서울에서는 이외에도 이달 2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중랑구 병원 관련 사례에서는 하루 새 11명이 추가 확진(누적 12명)됐고, 동대문구 병원 관련 사례에서는 접촉자 조사 중 3명이 추가(누적 25명) 확진 받았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부천시 대학병원 사례와 관련해 7명의 확진자가 더 나와 누적 21명이 됐다.
최근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부산과 경남 지역의 확산세도 이어졌다.
부산·울산 장구강습과 관련해 격리 중 6명이 추가로 양성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는 170명으로 늘었고, 부산 사상구 요양병원 관련해 3일 6명이 확진돼 환자 일체검사 및 접촉자 조사가 진행중이다.
지난 2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경남 김해시 주간보호센터 사례와 관련해서는 18명이 추가(누적 19명) 확진됐고, 지난달 30일 첫 확진자가 나온 울산 동구 일가족과 관련해서는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누적 12명)됐다.
이외 지역에서도 대전 유성구 주점 관련으로 7명(누적 25명), 전북 전주시 덕진구 교회 관련으로 6명(누적 7명)이 새롭게 코로나19 확진을 받았다.
정부는 6일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어 수도권의 2단계+α 조치 연장 또는 2.5단계 격상 여부를 비롯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