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제작에도 AI 활용...숏폼 등 사업모델 대전환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KT가 AI 기술을 바탕으로 미디어 사업 전반을 개편한다. 미디어 콘텐츠 사업에 AI를 접목해 글로벌 OTT에 밀려 성장이 둔화된 IPTV 시장과 콘텐츠 산업에 혁신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사업에 2026년까지 5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 |
▲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 전무가 16일 열린 'KT그룹 미디어 토크'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KT] |
KT는 16일 서울 강남구 안다즈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KT 미디어 뉴웨이’ 전략을 공개했다. 이 전략은 ▲AI 플랫폼 ▲AI 콘텐츠 ▲사업 모델 혁신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우선 KT는 올해 상반기부터 지니TV에 AI 에이전트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업 결과물로, 대화형 LLM(거대 언어모델)을 통해 콘텐츠를 탐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 전무는 “기존 음성 탐색 기능은 만족스럽지 못했다”며, “이번 AI 에이전트는 GPT-4o 기반의 커스텀 모델로, 한국어 문맥과 표현에 특화돼 있다”고 밝혔다. 앞서 KT는 MS와 협력해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정서를 반영한 AI 모델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번이 해당 모델의 첫 적용 사례다.
예컨대 “ENA 채널에서 방영한 군대 배경의 유쾌한 드라마가 뭐였지?”라고 물으면, AI 에이전트가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인 ‘신병’을 찾아주는 식이다.
AI 에이전트는 B2B 영역에도 활용된다. 홈쇼핑 사업자를 위한 ‘지니TV 쇼핑 인사이트’ 솔루션에 적용돼, 빅데이터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콘텐츠 제작에도 AI를 적극 활용한다. 이를 위해 KT는 콘텐츠 AX(AI 전환) 전문 조직인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했다. 이 조직은 콘텐츠 투자심사부터 기획, 제작·편집, 마케팅·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AI 기술을 적용한다.
KT의 콘텐츠 제작 자회사인 KT스튜디오지니는 채널, 포맷, 글로벌 세 가지 전략을 통해 IP 가치를 확장한다.
우선 유통 채널을 다각화해 기존 지니TV·KT ENA 단독 공개에서 넷플릭스·티빙 등 OTT 동시 공개 방식으로 전환한다.
콘텐츠 포맷을 확장하는 원소스 멀티유즈(OSMU) 전략을 통해 인기 IP인 ‘신병’ 시리즈를 장편 영화 ‘신병: 더 무비’로 제작할 예정이다. 상업적 성공 가능성이 높은 IP를 사전 선별하는 데에도 AI 기술이 활용된다.
또한 IP를 활용해 전략적 파트너십 기반 해외 로컬 프로덕션도 시도할 계획이다. 성장이 정체된 유료방송 시장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사업 모델도 재정비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에 따르면, 2023년 유료방송 시장은 가입자 수와 매출 증가율 모두 0%대에 머물렀다.
KT는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상반기 중 지니TV에서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 'FAST'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성과에 따라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KT스튜디오지니를 숏폼 전문 스튜디오로 포지셔닝해 AI 기반 숏폼 제작 인프라 구축에도 힘쓴다. 앞서 KT는 숏폼 제작에 특화된 AI 기술을 활용해 ‘신병3’의 홍보영상을 제작한 바 있다. 스토리 라인에 따라 맞춤형 편집이 가능하며, 적절한 초점 대상을 식별하는 '포커스 뷰' 등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김채희 전무는 “고객의 변화를 선도하는 전략을 통해 AI 기반으로 미디어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가겠다”며, “AI 혁신과 새로운 IP 확장 전략에 KT 그룹의 역량까지 결합해 KT 미디어의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