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4곳 취약등급 확정..."고금리에 경공매도 쉽지 않아"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과 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저축은행권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PF 정보공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저축은행권에 충당금 적립을 요구하는 등 2금융권 건전성 관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고금리에 부실채권 매각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저축은행중앙회의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 추진 등 주요 전략이 힘을 받을 수 있을지 우려도 나온다.
![]() |
▲저축은행과 부동산 PF. [사진= 연합뉴스] |
3일 금융당국과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 20여곳 중 충당금 적립이 필요하다고 보는 4곳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하고, 나머지는 경영진 면담을 진행했다.
이는 지난 19일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4곳의 자산 건전성 지표에 '취약' 등급을 추가 확정한 뒤 나온 조처다. 당국은 지난해 안국·라온저축은행 등 2곳에 적기시정조치를 내렸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장점검을 통해 자산 건전성 분류가 잘 돼 있는지를 살펴보고, 충당금이 부족하면 추가로 쌓으라고 지도했다"고 말했다.
더해 금감원은 PF 사업장 투자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고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이 공시된 '정보공개 플랫폼'을 공개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고금리에 경공매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플랫폼 공시를 통한 거래를 만들어야 한다”며 “금융사 건전성이 개선되면 신규 PF 대출 공급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여기에 저축은행업계는 부실채권 공동매각을 추진하고 중앙회 차원에서 NPL 전문회사 설립도 준비한다. 올해 전 금융권에서 부동산PF NPL 물량이 쏟아지면 저축은행 물량까지 받아낼 NPL사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자본금을 NPL사 설립에 필요한 최소 금액인 5억원으로 시작해 올해 안으로 1000억원까지 불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자본금이 1000억원으로 확대되면 NPL사가 매입할 수 있는 NPL 규모는 1조원까지 늘어난다.
자본금은 저축은행들과 협의가 필요하다. 새마을금고와 신협 등 상호금융권은 NPL사를 설립할 당시 중앙회에서 자금을 댔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상대적으로 자금 여력이 충분하지 않아 개별 저축은행에서 직접 출자금을 대야 하는 상황이다.
저축은행중앙회 NPL사 설립에 대한 저축은행권 분위기는 다양하다. 불황이 이어지면서 대형 저축은행이라도 자본 출자에 부담스럽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반면 NPL사의 필요성이 크다는 주장도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NPL사 설립 계획이 없다”며 “부실채권에 대한 우려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검토에 들어갔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알렸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3분기 저축은행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1%를 웃돌았다”며 “중앙회 차원에서 공동 대응하기 위한 NPL사 설립에 대해 긍정적인 분위기”라고 전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타당성 검토를 거쳐 올해 6~7월 정도에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79개 저축은행 전부의 생각이 다르겠지만 업계 전체 건전성과 이익을 위해 나설 수 있도록 시작하는 단계”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